•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립중앙도서관본 『경험방』의 국어학적 분석 - 어휘 분야를 중심으로 (A Korean Linguistic Analysis of Gyeongheombang,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02
33P 미리보기
국립중앙도서관본 『경험방』의 국어학적 분석 - 어휘 분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연구 / 81호 / 191 ~ 223페이지
    · 저자명 : 이은규

    초록

    이 글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 의서 『경험방』을 대상으로 서지 사항과 표기 및 음운 현상을 살펴보고 향약명과 병명을 중심으로 한 어휘 분야를 분석한 것이다. 지금까지 다루어진 바가 없는 『경험방』의 방문은 한문인데 부분적으로 우리말로 기록되기도 했다. 그리고 한어명에 대응되는 우리말 어휘를 적고 있는데 대부분이 향약명과 병명이다. 필사본 의서로서 새 향약명이나 병명 그리고 방언형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휘사적 가치를 가진다.
    방문 전체가 번역된 것이 아니어서 분석 대상 자료가 적다는 한계가 있지만, 병서 표기 경향에 따르면 근대 국어 후반의 우리말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원순모음화, 구개음화, 치음 아래에서 ‘j’ 탈락 현상 등이 혼기와 역표기를 모두 보여주고 있는바, 대략적으로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중엽의 우리말을 반영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새 우리말 향약명으로 ‘밥당귀불휘’, ‘ᄲᆡ알초’, ‘쇠ᄲᅮᆯ’, ‘엉거리’, ‘ᄯᅡᆼᄯᆞᆯ기덩굴’ 등 21개를 발굴하였다. 어형이 바뀌거나 구성 요소가 교체된 향약명은 ‘눈비야치’, ‘등렁헐치’, ‘복ᄉᆡᆼ션’, ‘산이슬앗’, ‘왕벌의집’, ‘외동이밤’, ‘ᄎᆞ조미리’ 등 14개를 추출하였다. 방언형으로는 ‘볘ᄉᆞᆯ피’, ‘볼쥐ᄯᅩᆼ’, ‘ᄉᆡ양나무’ 등 6개를 확인하였다. 자음과 모음을 달리하는 어형으로는 ‘ᄃᆞᆯ긔집가비’, ‘조밤나모’, ‘집우더기’, ‘뱝새’ 등을 찾아내었다. 병명으로는 ‘노올벙이’, ‘달각질’, ‘ᄯᆞᆷ되야기’, ‘세블’ 등과 같은 새 어휘를 확인하였고 다수의 설명형 병명을 정리하였다. 일반 어휘로는 ‘풀구머리’, ‘부동가리’, ‘연가싀’, ‘우거리’ 등 새로운 형태나 이전 시기에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을 찾아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yangyak Terminology, disease names, and general vocabulary after examining the bibliographic details,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Gyeongheombang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conclusions.
    Firs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estimate the time of transcription due to limited data ue to the fact that the full text of the visit was not translate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trend of compound character, Vowel-rounding, frontal vowelization, palatalization, and the phenomenon of dropping ‘j’ under dental sounds, etc., showing reverse transcription or confused notation, is presumed to be the late modern Korean language, and its lower limit is presumed to be lowered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econd, the new Hyangyak Terminology not found in other medical books are as follows; donaedyoge, dolongichinʌnsduibuli, dolnʌmeul, dujigijwi, dujigijwi, dʌloegogji, babdanggwibulhwi, beuljin, samgusdol, soesbul, sugdae, syubagnaenanʌncho, sdangsdʌlgideonggul, sbʌialcho, eonggeoli, eongeoi, yeoldogsbulhʌl, yeongeoli, jyalacho, chʌdol, hwaesnibnʌmu etc.
    Third, the Hyangyak Terminology whose morphology has been changed or whose components have been replaced are as follows; gʌibeodeulgaeaji, nunbiyachi, deungleongheolchi, mʌindolamsgos, balgileum, bogsʌingsyeon, sanmojaenamobulhwi, saniseulasbsi, agungjibadagheulg, wangbeoluijib, oedongibam, jyaligongi, chʌjomili, hyeongmyeolyebolhʌi etc.
    Forth, Hyangyak Terminology reflecting the dialect form are as follows; neungguli, byesʌlpi, boljwisdong, sʌiyangnamu etc. And a number of Hyangyak Terminology in which vowels or consonants are replaced are identified.
    Fifth, the newly discovered disease names are as follows; noolbeongi, dalgagjil, sebeul, syudyung etc. And the notable general vocabulary is as follows; gileogji, dambʌidae, deunggyebul, budonggali, yeongasui, ugeoli, jibgalag, pulgumeoli etc.
    Overall, it can be seen that the vocabulary of Gyeongheombang has many new Hyangyak Terminology, disease name and dialect forms. These results are valuable in that they reflect the actual language at the time of transcription, and furthermore, they provide data that help establish the Korean vocabulary system. Therefore, precise analysis of manuscripts including Gyeongheombang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