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교 미술 수업과 지역문화예술의 연계 방안: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Cooperation Method between Junior High School Art Classes and Local Cultural Arts: Based on Buche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5.12
18P 미리보기
중학교 미술 수업과 지역문화예술의 연계 방안: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논총 / 29권 / 4호 / 93 ~ 110페이지
    · 저자명 : 노정길

    초록

    2016년도부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과 학교 내 미술 체험영역에 대한 보완으로 학교 밖 미술관련 체험활동에 대한 수요가 점점 커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 지역문화예술 공간의 증가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예술 공동체들이 날로 확장되고 있다. 현시점에서 지역사회의 일부인 학교가 지역문화예술과 연계하여 미술 수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기존의 지역문화예술과 학교 수업의 연계에 대한 연구들은 지역 예술가를 학교 강사로 초빙하는 것과 지역 미술관, 박물관 관람 교육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수업과 지역문화예술의 연계 방안으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체험을 중심으로 한다. 또한 연구자가 오랜 기간 거주해 온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공간 및 문화예술공동체 프로그램들을 찾아보고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미술체험 수업과 어떻게 연계해볼 수 있을지를 탐색하고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교 미술수업에서의 체험영역을 확장하고 현장 교사들이 지역문화예술과 연계한 미술수업을설계할 때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Since 2016, the demand for do extracurricular field work related to art has become so great as a complement to intramural art experience area due to overall execution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cently, the space of local cultural arts has grown and local cultural art communities have increased. At the present time we consider that schools need to seek for solution to start art class as parts of the local community, in conjunction with local cultural arts. Most of existing studie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cultural arts and school classes are mainly related to inviting local artists as school lecturer and visiting local art galleries or museums.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s made out of school as a cooperation method between junior high school art classes and local cultural arts.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how various spaces of local cultural arts and programs of local cultural art communities could be connected to art experience class and suggesting cooperation method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fter visiting those places based on Bucheon region where researcher has lived for a long time.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that it would be helpful when field teachers try to expand experience area of students in art classes and to design art classes connected to local cultural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