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웅진기 ‘建邦之神’ 제사와 聖王代 유교식 天 관념 (A Ritual for Kŏnbangjisin during the Ungjin Period in Baekje and Confucius Perspective on Heaven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7.08
44P 미리보기
백제 웅진기 ‘建邦之神’ 제사와 聖王代 유교식 天 관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26호 / 73 ~ 116페이지
    · 저자명 : 이장웅

    초록

    본고는 백제 웅진기의 ‘建邦之神’ 기록과 聖王代의 유교식 제사체계를 면밀히 검토하여 토착 天 관념과 유교식 天 관념 사이의 갈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웅진기 東城王 때의 祭天地 기록과 『日本書紀』의 ‘建邦之神’ 기록을 연결시켜 해석하여, 그 제사 대상은 天地神이면서 古朝鮮-馬韓 계통의 곰 신화 내지 단군신화와 관련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聖王 시기에는 유교식 제사체계를 확립하려는 노력에 따라 웅진・사비 지역 토착 天地神 관념에 변화를 꾀하여, 중국식 天과 五帝 및 山川 제사를 받아들여 이를 백제화시키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耆老로 표현된 웅진・사비 지역 귀족들의 天 관념과 갈등을 야기시켰고, 성왕의 管山城 전투 패전 원인으로까지 지목되면서 전쟁을 주도했던 태자 昌(威德王)을 압박하게 되었다.
    본고는 그동안 ‘建邦之神’의 실체를 東明이나 仇台 등 始祖神으로 보았던 데에서 벗어나, 웅진기의 祭天地 기록과 연관시켜 이 지역 토착 天 관념과 신화로 해석하였고, 성왕 시기 백제 중흥을 위한 여러 개혁 노력과 관산성 전투 패배로 인한 좌절을 사상적 관점에서 재검토한 점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onflict between the ethnic and Confucius perspectives on Heaven(天), examining the record of ‘Kŏnbangjisin(建邦之神)’ in the Ungjin period of Baekje and Confucius style rituals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聖王). First, the paper connected the records of the rituals for Heaven and Earth during the reign of King Tongsŏng in the Ungjin period to the record of ‘Kŏnbangjisin’ in Nihon Shoki(日本書紀), and interpreted that the subject of the ritual was a spirit of Heaven and Earth, which possibly had a relationship with the myth of bears or Tangun descended from the Old Chosŏn and Mahan(馬韓).
    Yet,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 there was an attempt to establish the system of Confucius style rituals. As a result, while Baekje sought for a change in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the spirits of Heaven and Earth, it tried to import the Chinese style rituals for Heaven, Five Emperors, or mountains and rivers, and localize them into their own style. These attempts inevitably brought a conflict with the local ethnic aristocrats’ ideas of Heaven, which was expressed as Kiro(耆老); this conflict even pressured the crown prince and the leader of the war, Ch’ang(later King Widŏk), when it became the reason of the battle’s defeat.
    This paper tried to overcome the previous perspectives that ‘Kŏnbangjisin’ was a spirit of the founder of a state such as Tongmyŏng(東明) or Kut’ae(仇台), and analyzed it as a local ethnic concept and myth of Heaven in this area, connecting them to the record of ritual for Heaven and Earth in the Ungjin period. Additionally, the paper has a significance to review Baekje’s various attempts to reform for resurgence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 and discouragement after the defeat in the battle of Kwansan Castle under the ideological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