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춘향뎐과 방자전으로 본 문화원형과 패러디 (A Study of Cultural Prototype and Parody in the Films Chunhyangdeon and Bangjajeo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1.10
14P 미리보기
영화 춘향뎐과 방자전으로 본 문화원형과 패러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10호 / 527 ~ 540페이지
    · 저자명 : 임지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원형 중 춘향전의 이야기가 가장 많이 패러디되고 꾸준히 사랑받아 오는 이유를 보편성으로 연구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춘향전은 한국의 문화원형 중 미디어 콘텐츠로 가장 많이 패러디된 러브스토리이다. 숙종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 춘향전은 1754년 정조 시대에 춘향가로 변화한다. 이는 구비문학에서 판소리로 장르를 이동하여 기록되기 시작하였음을 의미한다. 무대와 스크린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끊임없이 만들어오고 있다. 영화만 하여도 남북한 합하여 300여 편이 만들어졌고 심지어 춘향이 선발대회는 1931년부터 지금까지계속되는 선발대회이다. 이렇듯 춘향전은 끊임없는 장르, 인물의 성격과 이야기 구조를 시대의 변화에 따라 겪으며한국에서 꾸준히 사랑받는 대표적인 문화원형 중 하나이다. 특히 영화 춘향전의 남녀 주인공은 그 시대의 미남미녀배우가 맡아서 연기를 해오고 있다.
    춘향전이 시대를 관통하여 사랑받는 중요한 이유는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를 통하여 인간의 평등을 이야기하고있기 때문이다. 춘향전은 조선 시대에는 신분의 차별을 현대에는 자본주의 시대의 계급에 대하여 풍자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2000년 임권택 감독이 연출한 춘향뎐과 2006년 김대호 감독의 방자전 패러디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인물과 이야기를 비교하여 패러디의 이론인 전복과 아이러니를 통해 분석하고 그 속의 반영된 시대정신을 우리가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로 알아보았다.

    영어초록

    Chunhyangjeon is the one of most parodied Korean cultural archetype in media contents. Thereare about 300 movies about Chunhyangjeon in South and North Korea. Originally Chunhyangjeonstarted in oral literature. Chunhyangga is the first transposition of the genre from Oral literatureto Pansory appeared in 1754 in Joseon Dynasty. It consists of an actor who sings and acts withone or several percussion accompaniments. The first Korean film was Chunhyangjeon(1923)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modernization Chunhyangjeon recreated many mediacontents in new forms including screen and stages. Even the beauty contest the National ChunhyangPageant is held every year since 1931. Chunhyangjeon was a story that was constantly loved byKoreans back in time because it satires class conflicts and pursues equality. Usually Ironmongerythe male protagonist and Chunhyang the female protagonist are acted by a handsome andbeautiful actress of the time.
    In this paper I analyze characters and stores of the two movie Chunhayondeon and Bangjajeonin the view of parody. Chunhyangdeon directed by Lim Kwon-taek in 2000 is specialized fromthe perspective of representation of the form Chunhyangdeon showed a pansori performance inthe beginning and moved to movie format. Bangjajeon directed by Daewoo Kim in 2010 parodiedChunhyangjeon with a new generation of love stories in the era. In this case the conflict betweenthe new classes in capitalism. In the Bangjajeon, the servant of Mongrong, he becomes the maincharacter. He represents as a man of the public. Mongyong speaks for the mean person of theruling class. In the original story love between Chunhyang and Mongyong changed into lovetriangle among Chunhyang, Bangja and Mongyong in Bangjajeon. I research character and storystructure of two movies with irony and turnover in the perspective of reflecting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