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문인의 漢詩에 나타난 阿房宮의 심상 (The Image of the Epang Palace(阿房宮)in the Chinese Poetry(漢詩) by Joseon Writer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9.10
34P 미리보기
조선 문인의 漢詩에 나타난 阿房宮의 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69호 / 249 ~ 282페이지
    · 저자명 : 강혜종

    초록

    본고에서는 역사성과 심미성을 지닌 진대의 아방궁에 주목하여, 조선 문인의 한시에 나타난 아방궁의 심상을 검토하였다.
    아방궁을 詩題로 하거나 본문의 내용에서 직접적으로 다룬 한시 작품들은 주로 조선 전기에서 중기에 분포하였다. 아방궁은 하늘에 닿을 듯 우뚝 솟아, 공중에서 사방으로 통하는 복도와 벌집같은 수많은 공간이 있는 모습 등으로 형상화되었다. 아방궁은 왕조의 멸망을 불러일으킨 원인으로 꼽히며 후대의 경계가 되는 부정적 대상으로 인식되었지만, 아방궁의 웅장하고 화려한 면모와 극적 서사, 허망하게 화염 속에 사라져버린 비극적 운명은 역사적 교훈성과 문학적 심미성을 아울러 지닌 모티프로서 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되었다. 부려한 아방궁이 화염 속에서 재로 쇠락해버리는 장면은, 존재의 당위성을 상실한 권세와 욕망의 표상인 심미적 공간을 몰락시키는 카타르시스의 기제로서 아방궁의 대비적 심상을 만들어냈다.
    본고에서는 조선 문인의 한시에 나타난 아방궁의 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杜牧(803-852)의 「阿房宮賦」에 주목하여, 본 작품의 내용과 표현이 조선 문인의 아방궁 소재 한시에 차용된 경우가 많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방궁부」의 해석에 대한 논의도 주로 조선 중기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조선 문단의 「아방궁부」에 대한 관심과 향유, 수용이 조선 문인의 아방궁 소재 한시 창작에 영향을 끼친 동인이자 아방궁 심상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image of the Epang Palace in Chinese poetry produced by Joseon writers, focusing on the historical authenticity and aestheticism of the Epang Palace for literary work.
    This study found that the poetries dealing with Epang Palace as a main material mostly are from the early to mid-Joseon dynasty. The image of Epang Palace stands extremely tall that it can almost touch the sky, and in the bird’s view of having immense space with hallways connecting to all directions with rooms like beehive.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the Epang Palace was considered as the cause for the fall of the Qin dynasty thus recognized as a negative aspect of history that the posterity must be vigilant about. At the same time, the appearance of the Epang Palace with the grandeur and brilliance, dramatic story and tragic fate of disappearing futilely in flames, became a historical lesson and literary aesthetics. Therefore, the Epang Palace was repeatedly illustrated in works of art and literature. The dramatic contrast of the scene in which the magnificent Epang Palace deteriorates into ashes created the imagery as a catharsis by collapsing the aesthetic space that was a symbol of power and lust that have lost the justified of existenc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poetry by Joseon writers and the “Fu on the Epang Palace” (「阿房宮賦」) of Du Mu (杜牧; “Du Mok” in Korean; 803-852), this study found that many Joseon writers borrowed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in “Fu on the Epang Palace” when composing poetry with the theme of Epang Palace.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discussions and the interpretation of “Fu on the Epang Palace” mainly occurred in the mid-Joseon dynast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est, enjoyment, and acceptance of “Fu on the Epang Palace”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Epang Palace-themed poetry by Joseon wri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