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1990년대 밥솥 디자인에 영향을 끼친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fluencing Rice Cooker Design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6.08
15P 미리보기
1970-1990년대 밥솥 디자인에 영향을 끼친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9권 / 3호 / 201 ~ 215페이지
    · 저자명 : 이채은, 오창섭

    초록

    연구배경 밥솥은 한국의 식문화를 상징하는 가전제품 중 하나이다. 60년대의 밥솥 모양은 지금의 밥솥과 다른 모습을 띄고 있었다. 70년대 한국 사회가 성장함과 함께 밥솥의 디자인도 변화하기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밥솥 디자인의 변화는 당시의 사회·문화적 성향을 반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70-90년대 한국 밥솥 디자인의 흐름을 살펴보고, 디자인 변화에 영향을 끼친 사회‧문화적인 요인들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1970-1990년대 중 경향신문에 나타난 밥솥 광고 81개에 나타난 밥솥 디자인을 대상으로 변화된 지점들을 찾아 사회‧문화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기준은 형태, 무늬, 색상 3가지로 나누어 내용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시대별로 밥솥의 변화를 나누어 보았을 때, 70년대에는 일본 밥솥을 모방한 전기밥솥이 등장했다. 그러나 전기밥솥으로 지은 밥은 맛이 좋지 않았고 가마솥을 선호했던 당시 사람들의 인식 때문에 가마솥의 모양과 원리를 차용한 압력밥솥이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압력밥솥은 보온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80년대는 ‘보온밥통’이 등장했다.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기밥솥은 현대적인 전기밥솥의 모양과 비슷해져 갔으며 외면에 무늬나 색이 입혀지는 변화가 있었다.
    70년대부터 90년대 밥솥 디자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사회· 문화적인 요인엔 5가지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부엌의 구조가 서구식의 입식 부엌 형태로 변화하면서 밥솥의 형태와 재질 또한 변화되었다. 둘째, KS마크의 도입으로 밥솥의 형태가 일정해지고 규격화 되었다. 셋째, 80년대 일본 밥솥을 모방하면서 국내 밥솥의 품질이 개선되었지만 이는 단순한 모방에 그쳐 독자적인 디자인을 보이지 못하는 한계를 가져왔다. 넷째, 컬러TV의 등장으로 밥솥의 외형 색상이 다양화되었다. 다섯째. 여성의 경제력이 향상됨에 따라 기업들은 여성들의 취향을 밥솥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게 되었다.
    결론 밥솥은 출시된 이후 한국 사회의 격변기였던 70년대부터 90년대를 거치며, 당시의 다양한 사회문화적인 요인들에 영향을 받아 디자인이 변화되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Rice cookers are one of home the appliances symbolizing the food culture of Korea. The shape of a rice cooker in the 1960s wa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a present one. With the growth of Korean society in the 1970s, rice cooker design began to change. The changes in rice cooker designs reflected the social and cultural tendencies of those tim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eam of Korean rice cooker design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s in designs.
    Methods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rice cooker designs in 81 rice cooker advertisements in The Kyunghyang newspaper from the 1970s to the 1990s were considered an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standards; shape, pattern and color.
    Results In the 1970s, an electric rice cooker, which copied a Japanese rice cooker, appeared. But the rice cooked in the electric rice cooker was not good and people preferred rice cooked in an iron pot. For this reason, a high-pressure rice cooker that applied the shape and principle of an iron pot, appeared. But the high-pressure rice cooker did not keep rice warm. To remedy this, a 'heat-retaining rice cooker' appeared in the 1980s. In the 1990s, the electric rice cooker became similar to the shape of a modern electric rice cooker and patterns or colors began to be applied to the appearance. There are fiv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hanges in rice cooker design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First, the shapes and materials of the rice cookers changed due to the emergence of a western-style stand-up kitchen. Second, with the introduction of KS-mark, the shapes of rice cookers became fixed and standardized. Third, the quality of domestic rice cookers improved by copying Japanese rice cookers in the 1980s, but they failed to create their own unique designs. Fourth, with the emergence of color television, the outside colors of rice cookers were diversified. Fifth, women's economic power increased and companies reflected female tastes in rice cooker designs more actively.
    Conclusion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which saw the upheaval of Korean society, rice cooker designs changed by being influenced by a variety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f thos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