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연극에 나타난 고백의 언어 -<숲에 이르기 직전의 밤> 연구- (Le théâtre moderne et le solilogue-Etude sur de Koltè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0.08
40P 미리보기
현대연극에 나타난 고백의 언어 -&lt;숲에 이르기 직전의 밤&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41호 / 171 ~ 210페이지
    · 저자명 : 안치운

    초록

    일반적으로 희곡의 언어는 무엇을 전달하고, 무엇을 말하는 말들의 총합 혹은 이미지로 존재한다. “내 삶의 한 몫은 여행이고, 그 나머지는 글쓰기이다. 나는 매우 천천히 글을 쓴다Une part de ma vie, c'est le voyage, l'autre, l'écriture. J'écris très lentement.”(Koltès 1999: 34)고 한 콜테스는 일찍 생을 마감했다. 그의 죽음 이후, 독자는 죽음으로 그의 여행과 글쓰기의 삶이 마감되었다고 여길 수 있지만, 그의 희곡을 읽은 여정은 계속된다는 것을 깨닫는다. 동시에 그의 삶과 작품에 대한 해석은, 희곡의 공연과 더불어 새로운 글쓰기의 출발임이라고 할 수 있다. 콜테스의 희곡들이 운문의 독백, 고백 중심의 형식으로 쓰여졌다는 것은 콜테스 희곡이 지닌 형식을 가장 잘 드러내는 표현이다. 콜테스의 희곡이 일반적인 희곡이 지닌 형식과 다르다면, 그것은 무엇보다도 인물과 장소 그리고 시간이 분명하지 않아 연극적이라기보다는 문학적 텍스트로 읽힐 수 있다는 뜻을 함의하고 있다.
    <숲...>은 말들이 모여 이미지를 만들고, 그것이 어떤 내용을 전달하는 풍경으로 존재하지 않고, 그 자체로 존재하면서, 그것을 내세워 언어를 날 것 그 자체로 존재하게 한다. 희곡 속 시간과 장소뿐만 아니라 인물과 사건의 추이가 애매모호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숲...>은 시간의 과정을 해체하면서 존재의 근원적인 경험을 돌이킬 수 없는 지속의 개념으로 환원시켜 놓고 있다. 한 인간의 존재가 지닐 법 한, 존재와 사물, 존재와 세계와의 정합성 같은 것을 거의 부정하고 있다.(Sébastien 118) <숲...>에서 주인공인 화자가 말을 하지만, 상대가 누구인지, 말하는 때가 언제인지, 말하는 장소가 어디인지, 왜 말을 하는지는 구체적으로 쓰여져 있지 않다. 이것은 말을 하지만, 말하는 방식에 대한 거부라고 해석할 수 있다. 아무런 제약없이 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주술처럼 말하는 행위는 존재의 근원에 대한 되물음을 낳는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숲...>은 추상화와 같다. 인물, 대사, 묘사, 구성 등에서 지울 것을 거의 지워 뼈대만 남은 작품이다. 인물들 가운데 남은 이가 ‘나’뿐이고, 주고받는 대화에서 상대방의 말들을 지우면 나만의 독백이 남는다. 묘사와 구성 등 이야기를 채우는 것들은 이 독백 속에 들어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 작품의 분석은 하나의 추상화된 희곡을 여럿으로 늘려놓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혼자 말하는 독백의 분석은 말하는 행위와 더불어 내용 그리고 그것들을 아우르는 시간과 공간에 관한 분석이 핵심이다. 말하는 행위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다. <숲...>은 (시간 속에서) 말하면서 (공간 속으로) 흘러가는 희곡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발화의 수행적 행위가 모든 사회적 언술행위를 넘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인공 화자의 말들은 그것 자체로 울리고, 언술의 논리나 연역적 추이가 아니라 언어 그 자체의 기억을 따라 이어질 뿐이다. 말들이 발화되자마자 사라지고, 그것에 이어지는 목소리들만이 덧붙여진다. 사라지는 목소리가 새로운 말들의 이정표가 되는 셈이다.

    영어초록

    <La nuit juste avant les forêts>de Koltès est le texte qui élabore une poétique du solilogue en faisant du lien langagier l'ultime promesse de la rencontre possible. Cette étude a pour but d'analyer le désir de raconter des récits et la structure canonique du solilogue rhétorique dans <La nuit juste avant les forêts>de Koltès. C'est parce que le théâtre moderne met la relation entre le texte et le soliloque en question. Il s'agit de concevoir les solilogues pour l'inconnu, l'innommable, comme une rencontre métaphysique dans la nuit de la rue. Les textes de Bernard-Marie Koltès, parlent de notre monde, donnent à voir le visible qui nous échappe, le quotidien, les marges et les failles de la normalité. Comme <Dans la solitude des champs de cotons>, <La fuite à cheval, très loin dans la ville>, <Quai ouest>, Koltès métaphorise le monde parce que les hommes ne peuvent se comprendre sans médiation, mais aussi parce qu'on ne peut ni tout dire, ni tout cautionner: doule distance de l'écriture et du réel qui perment un engagement signant l'infortune de l'époque.
    <La nuit juste avant les forêts> est le célèbre solilogue. C'est à-dire, une pièce des solilogues longs, multiples, interrompus, repris. Et aussi une pièce d'une histoire déroulée pendant une nuit racontée et des histoires racontées pendant cette nuit. Il y a le locuteur 'Je' qui parle sans cesse. Il voudais trouver quelqu'un qui puisse en témoigner. Mais tout au long de la pièce, C'est d'absence qu'est faite cette nécessaire. Ce monoloque ou soliloque long d'une seule phrase est écrite pour un acteur, et est jouée à Avignon en 1977 avec mise en scène de Koltès. Cette pièce est dans l'esprit de son auteur la première pour laquelle il se mettait à écrire véritablement même s'il ne s'agit pas strictement de la première qu'il ait écrite. Donc, elle est fondamentale pour comprendre ce que l'écriture contemporaine doit à Koltès, ce que nous devons à Koltès du déplacement des forces qu'organisa de manière décisive son théâtre. Parce que cette pièce a d'écriture, de confrontation à la fois au monde et à la langue dans le mêne geste adressé sur scène. Selon lui et ses textes, il est évident que notre monde ne peut se révéler objectivement. On peut découvrir, au delà de la dramaturgie, une poésie de solilogue et de la solitude, comme un symptôme de la fin de l'histoire, et l'insécurité des rencontres de hasart, la nuit, les forêts, qui conduisent au silence comme la mort.
    Lire ce grand texte de solitude, presque un solilogue intérieur, c'est tout d'abord entrer dans la solitude essentielle, l'acte de présence, la puissance de reconnaissance, c'est-à-dire la solitude en partage adressé, inaccessible, intraduisible à travers les paroles en forme de solilogues. En tout cas, c'est impossible de rencontrer l'un de l'autre, l'un à l'autre et par l'autre acquise, au sein de la rencontres. Ce texte est le récit de la fuite et la fuite du récit tendu à l'extrême vers les limits de la langue. Les solilgues de 'Je' se déroule avec la possibilité de trouver un témoin dans un coin d'une rue soudain émerge du silence et de la nuit pour le désir de partage. Les solilogues sans avoir d'action, de réponse ne tente pas de conjurer la solitude, de ranimer le sens de l'existence. La solitude du locuteur 'Je' est définitive et absolue. Toute tentative de rencontre est vouée à l'échec. Ce théâtre qui vit de ce solilogue ne peut que représenter cette faillite. Ce qui nous reste finalement, c'est son propre moment, son parole par son silence qui nous enmène dans la nuit comme la mo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