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귀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과 애도의 구조, 그 의미와 한계–<신거무 전설>과 <의적 강목발> 이야기를 중심으로– (Structure of Grudge-Releasing and Mourning in Vengeful-Ghost Narratives, Its Meaning, and Limitatio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7.07
29P 미리보기
원귀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과 애도의 구조, 그 의미와 한계–&lt;신거무 전설&gt;과 &lt;의적 강목발&gt; 이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55호 / 105 ~ 133페이지
    · 저자명 : 서유석

    초록

    옛이야기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원귀는 자신의 원한이 해결된 이후 현실에서 사라진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과 <의적 강목발>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두 존재는 자신의 원한을 직접 해결한 뒤에도 다시 현실 세계에 나타나 그 원한에 대한 복수를 지속하기 때문이다. 두 이야기는 배경이 되는 시대와 지역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원한으로 죽임을 당한 자의 아버지가 아들의 시신을 꺼내 매질한다는 공통의 화소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이 이유 없이 지속되는 끝없는 복수를 보여주는데 비해, <의적 강목발>은 복수가 지속되지 않고 해원이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공통점과 차이점이 분명한 두 원귀 서사의 해원과 애도의 구조와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 연구방법론, 그 중에서도 라캉의 이론에 기대고 있다. 실재계와 충동(Drive, 욕동)이라는 개념을 중시하는 후기 라캉의 이론은 상징계와 실재계를 넘나드는 원귀의 해원 구조를 좀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거무의 원귀는 원한을 가질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신거무의 원귀를 사실 원귀라고 부르기도 쉽지 않다. 이유 없이 원귀가 된 신거무의 원귀는 그 원한의 이유를 알 수 없기에 해원이 불가능하고, 애도 작업도 불가능하다. 원한을 풀어낼 수 없기에 <신거무 전설>의 결말은 이유 없이 이어지는 끝없는 죽음만 남아 있을 뿐이다. 즉 신거무의 원귀는 충동 주체이며 실재계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의적 강목발>의 해원 구조는 <신거무 전설>과 달리 상징계적 질서에 놓여 있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상징되는 지방 수령을 직접 해원의 방식으로 복수함으로써 당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모순을 공박하지만, 그 남근의 거세로 인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가 소멸되어 이야기의 향유 주체는 오히려 소외된다. 즉 강목발 이야기의 직접 해원 구조는 다시 ‘아버지의 이름’과 당대 사회의 문화적 질서를 재구축하는 것이다. 두 이야기가 보여주는 이러한 차이점은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어 공박하는 원귀 서사가 지금까지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유이다. 원귀 서사는 현실 세계 전복 가능성의 안팎을 끊임없이 넘나들고 있을 뿐이다.

    영어초록

    In old stories, most vengeful ghosts resolve their grudge and then disappear from the real world. However, such tendency is not observed in the stories of Legend of Singeomu and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The two beings directly resolve their grudge yet remain in the real world to continue exacting their vengeance based on their grudge. Despite their different backgrounds, including times and regions, the two stories have a common plot in that the father of the person who was killed by the grudge pulls out his son’s body from the coffin and whips them. Yet, while Legend of Singeomu shows continuing vengeance for nothing,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does not continue with the act of vengeance but rather releases the grudge at a certain point, thus making the two stor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rudge-releasing and mourning of the two vengeful-ghost narratives with distinctiv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To confirm this structure,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Lacan, one of psychoanalytic research methodologies, that emphasizes the concept of real world and drive, which has the potential to explain more clearly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vengeful ghost that crosses the symbolic world into the real world. Because Singeomu’s vengeful ghost is a being that cannot bear a grudge, it cannot be essentially called a vengeful ghost. Singeomu’s vengeful ghost, which has become a vengeful ghost without a reason, can neither release an unjustified grudge nor perform an act of mourning. Since the grudge cannot be released, the ending of Legend of Singeomu is only an endless death that continues without reason. In other words, the vengeful ghost of Singeomu is a driven subject and is see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is in line with the symbolic world order, unlike that of Legend of Singeomu. The vengeful ghost refutes the contradiction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y avenging the local governor, symbolized by his father’s name, in a grudge-releasing fashion. However, the Oedipus complex is destroyed by the castration of the penis, and the entity of the story is alienated. In other words, the direct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Gang Mok-bal story is to reconstruct the “father’s name” and the cultural order of the then society. S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ories is that the vengeful-ghost narrative, which reveals and contradicts the reality’s contradictions, is constantly repeating so far. The vengeful-ghost narrative only constantly crosses into and out of the possibility of the real-world overthr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