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산(大山) 김대거(金大擧)의 사상과 문학 ― 동아시아발(發) 근대 평화사상으로서의 원불교 (Dae-San(대산)Kim Dae-Geo(金大擧)‘sThoughtand Dharma-Literature ― Won-Buddhism As a Religious Principle of Peace & Harmony from East-Asi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08.05
40P 미리보기
대산(大山) 김대거(金大擧)의 사상과 문학 ― 동아시아발(發) 근대 평화사상으로서의 원불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18호 / 169 ~ 208페이지
    · 저자명 : 조성면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근대성에 대한 한국불교의 대응을 원불교를 통해서 살피되, 아직까지 우리 인문학이 주목하지 않았던 대산 김대거의 삶과 문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평화와 구원의 사상인 원불교와 동아시아론과의 소통의 가능성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대산은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과 계승자인 정산의 뒤를 이은 세 번째 종법사이다.
    원불교의 종지는 우주만유의 본원이며 세계를 주재하는 일원상의 진리를 깨달아 우리 모두가 마음공부에 힘써 도덕적 인간이 되고, 이를 바탕으로 광대 무량한 낙원 세계를 열어가자는 것이다. 역대의 제불조사(諸佛祖師)들이 지적했듯이 마음을 떠나 마음 밖에서 행복을 찾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며, 광대무량한 낙원 세계 역시 초월적 이상의 공간도 아니고 과학문명과 기술로 건설되어야 할 미래의 세계가 아니라 평화와 법열로 가득한 마음속의 낙원이며 그런 마음으로 이룩되어야 할 세상인 것이다. 원불교의 세 번째 지도자였던 대산은 민족 · 계급 · 인종 · 성 · 종교 등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공부와 종교연합운동(United Religion)을 제시하여 정신문명과 과학문명이 조화를 이루는 평화의 세상을 건설하자는 일종의 도덕의 정치학을 보여주었다. 동아시아 정신사의 핵심인 유불선을 통합한 원불교의 이념과 화동의 도와 같은 대산의 평화사상은 근대 이후를 지향하는 동아시아론이 주목해야 할 중요한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re is the very purpose of this article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the possibilities that have mutual communication and link between Won-Buddhism and the East-Asian discourse through the venerable Dharma master Daesan Kim Dae-ga(1914~1998)'s thought and Dharma-literature. He was the third head master of Won-Buddhism who succeeded the venerable great master of dharma Sotaesan(1891~1943) and the Successive leader Chongsan(1900~1962)'s Dharma Seat.
    The essential doctrine of Won-Buddhism is based on the Il-Won, the Dharma Buddha which is the Ultimate truth of the universe, the object of faith, the model of practice, and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So, let all of us believe, practice and enlighten it to come to the spiritual peace and the ideal world that we've dreamed of and staved for. According to all Buddha and enlightened Sages's dharma teaching, it is so stupid to seek after the truth and the happiness apart from each of mind. In the same manner the ideal religious world that Won-Buddhism make mention is not a transcendent space and a vague future-world established by religious providence or scientific technology but the real and mental embodied by mind practice and Buddhism-praxis.
    Hence, Dae san had presented the mind practice to come to the true Nirvana and the movement of United Religion to realize the world peace through cooperations with other religion. The aim and orientation of the religious practice and movement is to get over kinds of conflict among nation, class, race, gender, and religion. At this point the tenet of Won-Buddhism incorporated with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an be defined the new principle of peace to grope for the limitation of modern society and Dae San's thought prescribed the object of our East-Asian Discourse to be scrutinized posi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