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북의 로컬리티와 이용악의 초기 시― 이성악, 신동철, 이수형, 반상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Locality of Gwanbuk Region and Lee Yong-ak’s Early Poetry ― With reference to the relations of Lee Seong-ak, Shin Dong-cheol, Lee Su-hyeong, and Ban Sang-gyu)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4.12
33P 미리보기
관북의 로컬리티와 이용악의 초기 시― 이성악, 신동철, 이수형, 반상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1호 / 99 ~ 131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수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이용악의 시를 동시대의 함경도 출신 시인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관북의 로컬리티와의 관련 속에서 이용악의 초기 시와 시단 활동을 다시 보려는 데 있다. 이용악의 초기 시와 시적 경험이나 표현 등에서 유사성이 발견되는 이성악의 시 2편을 살펴보면서 이용악과 이성악이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변증했고, 신동철, 이수형, 반상규 등 관북 지역의 시인과의 연관성 속에서 이용악의 시를 살펴봄으로써 관북의 로컬리티를 구축하고자 시도했으며, 같은 맥락에서 『출발』 동인의 시를 이용악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새롭게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출발』 동인으로 「아버님 靈前에」를 『출발』에 발표하고 『낭만』지에 「갈님ㅅ길」을 발표한 李星岳을 이용악으로 볼 수 있을지 문제 제기한 선행 연구의 견해를 수용해 이성악과 이용악이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변증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이성악의 두 작품에서 이용악의 문체적 특징이 발견되고 시어 및 주제의 유사성이 포착된다는 사실을 변증했다. 아울러 「갈님ㅅ길」의 부제에 등장하는 ‘외우신군’이 이용악의 고향 친구이자 시인인 신동철일 가능성에 덧붙여 신동철이 ‘시현실’ 동인으로 이수형과 함께 활동했다는 사실과 『만선일보』에 이수형과 함께 작품을 발표했다는 사실을 추가함으로써 이성악이 이용악일 가능성을 좀 더 높였다. 「아버님 영전에」가 이용악의 생애 및 그의 시 「풀버렛소리 가득차잇섯다」와 시적 정황상 유사한 점이 많다는 사실도 추가로 변증했다. 『출발』 동인의 하나인 반상규의 고향이 함흥으로 이용악의 고향과 비교적 가까웠다는 점과 유이민을 노래한 시적 특징 등이 이용악의 시와 친연성을 보인다는 점도 함께 언급했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關北, 滿洲出身作家의 ‘鄕土文化’를말하는座談會」에 따르면 관북 지역의 문화와 언어는 그 형세의 영향을 받아 대체로 억세고 거칠고 투박하고 남성적이라는 인식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용악의 경우에는 토속적인 방언을 활용해 창작을 하기보다는 언어 보편주의를 지향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민족적 색채나 정서에는 북방의 지역적 환경과 역사, 그리고 그로부터 형성된 북방의 정서가 작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이민의 현실에 일찌감치 눈뜸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각성에 도달한 점은 관북 출신 시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포착되는 특징이기도 해서 관북의 로컬리티와의 관련 속에서 이용악의 시를 살펴보려는 연구는 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북방의 시인으로 이용악의 시를 논의한 선행 연구들의 경우에는 관서 지역과 관북 지역의 차이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는데, 도산 안창호의 영향 아래 있었던 서북 지역의 로컬리티와는 구별되는 관북의 로컬리티에 대한 본격적인 탐색이 이루어질 때 1930년대 중․후반의 이용악 초기 시의 성격이 좀 더 분명히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Lee Yong-ak’s poetry in connection to that of his contemporary fellow poets from Hamgyeong Province and understand his early poems and activities in the poetical circles in relation to the locality of the Gwanbuk region. The study reached the new following conclusions:Accepting the opinions from previous studies that raised a question as to whether one could see Lee Seong-ak, who published Before the Spirit of Deceased Father in the “Beginning” coterie magazine as one of its members and GalnimㅅGil in the “Romance” magazine, as Lee Yong-ak, the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two were the same person. In the process, the investigator demonstrated that the two works of Lee Seong-ak contained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Lee Yong-ak and also similarities to his works in terms of poetic words and topics. In addition, the study added the fact that Shin Dong-cheol worked in the “Reality of Poetry” coterie along with Lee Su-hyeong and published works in Manseonilbo with him based on the possibility that “Oiwooshingun” in the subtitle of GalnimㅅGil could be Shin Dong-cheol, Lee Yong-ak’s hometown friend and poet, thus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Lee Seong-ak and Lee Yong-ak were the same person.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many similarities in terms of poetic situations between Before the Spirit of Deceased Father and Lee Yong-ak’s life and Full of the Sound of Grasshoppers. It was also mentioned that the hometown of Ban Sang-gyu, one of the “Beginning” coterie members, was Hamheung relatively close to that of Lee Yong-ak and that Ban’s poems had affinity with those of Lee Yong-ak in some poe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epiction of wandering people.
    According to the “Roundtable Talk about ‘Folk Culture’ of Authors from Gwanbuk and Manchuria” examined in the study, there was a perception that the culture and language of the Gwanbuk region were generally rough, tough, crude, and masculine due to the influence of its conditions. It seems that Lee Yong-ak sought after linguistic universalism rather than creating with a folk dialect, but the northern geographical environment, history, and resulting sentiment were working in the ethnic colors and sentiments in his works. He opened his eyes to the reality of wandering people early and developed a perception and awakening of the reality of colonized Joseon, which was a common feature among the poets from Gwanbuk. It is thus needed to conduct more researches on his poetry in relation to the locality of Gwanbuk.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ed his poetry as a northern poet did not pay attention to differences between Gwanseo and Gwanbuk. Researchers will be able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his early poetry in the middle and late 1930s more clearly by carrying out full-blown inquiries into the locality of Gwanbuk distinguished from that of Seobuk under the influence of Dosan Ahn Chang-h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