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성숙 중국어 저술 활동의 특징 고찰 -『반식민지 국가의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Sung Suk’s Writing Activities in Chinese: With a Focus on His Student Movements in a Semicolonial Countr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2
43P 미리보기
김성숙 중국어 저술 활동의 특징 고찰 -『반식민지 국가의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85호 / 197 ~ 239페이지
    · 저자명 : 이진명, 김재욱

    초록

    김성숙의 중국어 저술은 저자의 상상력 반영 유무에 따라 크게 창작과 번역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는 창작의 하나인 『반식민지 국가의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김성숙 중국어 저술 활동의 특징을 고찰해보았다. 재중 독립운동가 중 중국인을 대상으로 글을 발표하여 일정한 성과를 얻은 인사들은 적지 않다. 하지만 『반식민지 국가의 학생운동』의 출판에서 확인되듯이 근대화된 중국 문화계의 시스템 속에서 중국 학술계에서 인정하는 중국의 지식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조선의 독립 문제’을 학술 활동에 접목시키며 중국어 집필 활동을 전개한 인물은 김성숙이 유일하다. 『반식민지 국가의 학생운동』은 한중일 3국의 언어의 형태로 존재한 식민지·반식민지 학생운동 관련 최신 이론과 정보를 통합(조합)하여 당시 중국 지식계에서 필요로 했던 중국학생운동의 역사·의의·방향 등을 점검한 책으로써 적지 않은 가치를 갖는다. 이처럼 중국 학술계에서 김성숙의 위치를 결정한 것은 그의 유창한 중국어 실력이 아니라 각종 이론과 최신 정보를 통합한 후 중국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었다. 김성숙은 자신을 ‘일본제국주의 문화봉쇄선 밖에 위치한 조선 혁명가’로 인식했다. 김성숙의 탁월했던 대중국(對中國)문화선전 업무에 대한 인식과 그 실천 과정 때문에 그의 중국어 저술은 그 해석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볼 부분이 생긴다. 정치적 약자의 수사적 표현, 사상의 중국화, 불교사상(특히 불교 대중화·사회화)의 영향 등이 그것이다.

    영어초록

    Kim Sung Suk’s writing in Chinese is largely divided into his creations and translations according to whether his imagination was reflected or no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writing activities in Chinese with a focus on Student Movements in a Semicolonial Country, which is one of his creative works. There are a good number of Korean fighters for independence who stayed in China and made certain achievements by publishing writing works targeting the Chinese people. As it is demonstrated in the publication of Student Movements in a Semicolonial Country, however, Kim was the only one who stood in comparison with Chinese intellectuals recognized by the Chinese scientific field in the modernized system of China’s cultural community and developed his writing activities in Chinese by incorporating the “issue of Joseon’s independence” into his academic activities. His Student Movements in a Semicolonial Country integrates(combines) the latest theories and information related to colonial and semicolonial student movements in three languag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nd checks the history,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China’s student movements that his contemporary Chinese intellectual community needed, thus holding huge value. His position in the Chinese scientific field was determined by not only his fluent Chinese command, but also his ability to integrate all kinds of theories and the latest information and express them in Chinese. He perceived himself as a “Joseon revolutionary outside the cultural blockade zone of Japanese imperialism.” His remarkable perceptions of cultural propaganda work targeting China and its practice process point to some par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his Chinese works. They include the rhetorical expressions of the politically weak, the Sinicization of ideas, and the influence of Buddhist ideas(especially the popularization and socialization of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