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虛舟 山水遺帖에 표현된 半邊川 十二勝景의 어제와 오늘 (Yesterday and Today of Twelve Excellent Sceneries at Banbyeoncheon Expressed in Heojoo's Sansuyucheop)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2.03
13P 미리보기
虛舟 山水遺帖에 표현된 半邊川 十二勝景의 어제와 오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0권 / 1호 / 90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정문, 노재현

    초록

    본 연구의 대상인 허주부군산수유첩(虛舟府君山水遺帖)은 고서벽(古書癖), 탄금벽(彈琴癖), 화훼벽(花卉癖), 서화벽(書畵癖) 그리고 주유벽(舟遊癖) 등 오벽(五癖)을 가진 인물인 고성 이씨 11대 종손 허주(虛舟) 이종악(李宗岳: 1726~1773)이 1763년 4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18명의 친인척들과 임청각에서 시작해 양정(羊汀), 칠탄(七灘), 사빈서원(泗濱書院), 선창(船倉), 낙연(落淵), 선찰(仙刹)과 선유정(仙遊亭), 몽선각(夢仙閣), 백운정(白雲亭)과 내앞마을(川前里), 이호(伊湖), 선어대(鮮魚帶)를 거쳐 귀착지인 반구정(伴鷗亭)에 이르기까지 ‘안동팔경’ 또는 ‘임하구곡’으로 불리우는 반변천(半邊川) 주변의 절경지를 선유(船遊)하며 남긴 십이폭의 화첩이다. 산수유첩에 표현된 장소 및 경물 그리고 식물요소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의 경관 및 풍물에 대한 물리․생태적, 시각․미학적 변화에 주목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수유첩의 표현된 맑은 강물과 하얀 백사장 그리고 기암절벽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시회(詩會), 거문고 소리에 귀 기울이는 선상(船上) 풍류는 조선시대 상류층의 선유(船遊) 놀이문화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아쉽게도 임하댐과 안동댐 건설로 초래된 심대한 시각적 변화와 생태적 변동으로 인해 양정과범(羊汀過帆), 칠탄후선(七灘候船), 사수범주(泗水泛舟), 선창계람(船倉繫纜), 낙연모색(落淵莫色), 망천귀도(輞川歸棹), 이호정도(伊湖停棹)의 경관상은 본래의 정취를 전혀 느낄 수 없으며, 단지 화폭에 묘사된 그림을 통해 당시의 풍광과 정취를 가늠할 수 있다. 허주부군산수유첩의 제1도(東湖解纜)와 제11도(鮮魚返照)에는 회화나무나 시무나무 또는 느릅나무 등 낙엽활엽교목으로 판단되는 수목들이 표현되었고, 제9도(雲亭風帆)의 ‘개호(開湖)’라 불리는 솔숲을 운천공이 1617년에 소나무를 식재해 형성한 숲이다. 그 외 승경도에서는 자연지형과 조화를 이룬 소나무 등의 상록침엽수와 정자나 건물 주변에 식재된 낙엽교목류가 표현되고 있다. 허주부군산수유첩과 신암의 동유십소기(東遊十小記)의 비교 고찰한 결과, 임하구곡의 일곡의 백운정으로부터, 이곡 임천과 임천서원, 사곡 사수의 사빈서원, 오곡 송석, 육곡 선창의 수석, 칠곡 낙연현류, 팔곡 선찰사와 선유정, 구곡 표옹 유허로 재차 확인되었으며, 모호했던 삼곡은 마천과 칠탄으로 추정된다.
    허주부군산수유첩은 조선 후기의 낙동강 최대 지류인 반변천 연안의 경관이 절묘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댐 건설로 현재는 찾아보기 힘든 선인들의 선유 풍류와 경관요소들을 음미할 수 있는 도형사료로써의 가치를 확인한 것이 본 연구의 작은 성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Sansuyucheop by Heojoobugun(虛舟府君)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십이-width picture album by the eldest grandson of 11 generations for Goseong Lee family, Lee Jong Ak(李宗岳: 1726~1773), a figure having five habits(五癖) for ancient documents(古書癖), playing the gayageum(彈琴癖), flowering plant(花卉癖),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書畵癖) and boating(舟遊癖) etc., who boated with 18 relatives, and those by marriage from old home, home of mother's side, wife's home, and his home for 5 days Apr. 4 through 8, 1763, starting from Imcheonggak, through Yangjeong(羊汀), Chiltan(七灘), Sabin Auditorium(泗濱書院), Seonchang(船倉), Nakyeon(落淵), Seonchal(仙刹), Seonyujeong(仙遊亭), Mongseongak(夢仙閣), Baekwoonjeong(白雲亭) and Naeap Village(川前里), Iho(伊湖), Seoeodae(鮮魚帶) to the returning point, Bangujeong(伴鷗亭), cruised magnificent views around Banbyeoncheon called ‘Andong 8 Gyeong’ or ‘Imhagugok’, and whenever the boat anchored, appreciated the scenery at each point, and enjoyed and loved arts playing the geomungo. This study reached following findings through grasping physical, ecological, visual and aesthetic changes about the places, sceneries, plant elements and past and current scenery of the width pictures expressed at this Sansuyucheop.
    The refinement on the boat seeing the clear river water, white sand beach, fantastically-shaped cliffs expressed at this Sansuyucheop, exchanging poems and calligraphies, and enjoying the geomungo is a good example displaying the play culture of high-class in Joseon Dynasty. Also construction of Imha Dam and Andong Dam has caused serious visual and ecological changes, making us not enable to feel the original mood of the background spots such as Yangjeonggwabeom(羊汀過帆), Chiltanhuseon(七灘候船), Sasubeomjoo(泗水泛舟), Seonchanggyeram(船倉繫纜), Nakyeonmosaek(落淵莫色), Mangcheonguido(輞川歸棹), Ihojeongdo(伊湖停棹), but only discern then landscape or sentiment through the landscape described at the canvas.
    The 1st picture(Donghohaeram, 東湖解纜), and the 11th picture(Seoeobanjo, 鮮魚返照) of Heojoobugun's Sansuyucheop expressed trees thought to be fallen, brad-leaf tall trees, and the 9th picture(Unjeongpungbeom, 雲亭風帆) formed a pine forest called 'Gaeho(開湖)’ by Uncheongong planting 1,000 pine trees with the village people in 1617. In addition, Seunggyeongdo expressed ever-green needle leaf trees at the natural topography, and fallen-leaf tall trees around the pavilion and building.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Heojoobugun's Sansuyucheop and Shinam's Dongyusipsogi(東遊十小記) showed that the location of Samgok is assumed to be Macheon and Chiltan, so Imhagugok is assumed to start from Baekunjeong of Ilgok, Igok from Imcheon and Imcheon auditorium, Samgok from Mangcheon and Chiltan, Sagok from Sabin Auditorium of Sasoo, Ogok from Songseok, Yukgok from Sooseok of Seonchang, Chilgok from Nakyeonhyeonryu, Palgok from Seonchalsa and Seonyoojeong, and Gugok from Pyong Yuheo.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 could clarify that Heojoobugun's Sansuyucheop is judged to be valuable in exquisitively expressing the coast of Banbyeon River, the biggest branch stream in the Nakdong River at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as a vital diagrammatical historical data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ly rarely-seen ancestors' life traces and landscape factors with present o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