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반·합 단계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 실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es of “Effective Lessons” Based on the Process of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9
27P 미리보기
정·반·합 단계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 실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과정연구 / 42권 / 3호 / 127 ~ 153페이지
    · 저자명 : 김영실, 류한나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좋은 수업을 운영하려는 노력을 상황적 실천으로 보고, 이를 정·반·합 사고단계에 기반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교사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을 운영하며(正)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힐 때(反)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자신의 수업을 수정해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수업(合)을 실천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은첫째, 모든 학생들이 배워야 할 것을 배우는 수업이다. 수업에서 생각지 못한 변수들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느끼지만 교사들은 학생들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학생 개별의 어려움과 특수성에 주목해 어려움을 극복해 나갔다. 둘째, 좋은 수업은 상호작용이 잘 되는 수업이다. 이때 활발한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학부모 민원이 있다. 하지만 교사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하고, 오히려 학생을 자신의 든든한 지원군으로 만들어갔다. 셋째, 좋은 수업은 학생들의 재미와 흥미를 반영해 잘 조직된 수업이다. 교사들은 많은업무와 수업 시수 등으로 수업을 연구하고 준비하는 데 물리적 한계를 느꼈다. 반면 자신이 의미를 두는 것, 잘 하는 것을 선택하고 집중하며 어려움을 이겨나갔다. 이런 교사들의 노력은 초등교육에서 현실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행위주체성의 실천으로도 볼 수 있다. 나아가 수업 개선을 위해 교사들에게 필요한 지원은 무엇이며 이때 유용한 사고의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views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orts to conduct effective classes as situational practices and analyzes these efforts based on the dialectical thinking processes of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teachers following the initial interviews. The teachers attempted to conduct what they considered effective lessons (thesis); when facing practical limitations (antithesis), they adapted their teaching to create lessons beneficial for their students (syn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first, effective lessons ensure all students learn essential content. Although the teachers realized a gap between their ideals and classroom realities, they overcame challenges by addressing students’ individual needs. Second, effective lessons involve strong interaction. While parental complaints could occasionally hinder engagement, teachers used creative approaches to involve students as active supporters of their learning. Third, effective lessons are well organized, reflecting students’ interests and enjoyment.
    Although physical constraints, such as heavy workloads and numerous teaching hours, limited lesson preparation, teachers overcame these challenges by focusing on what they valued and excelled in. These efforts by teachers reflect practical manifestations of agency in elementary education. The study also identifies the support needed to improve lesson effectiveness and provides insights for addressing these impro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