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 윤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동물실험과 찬․반의 갈등 (Animal Experiment and Conflict between Pros and Cons from Buddhist Ethical Perspectiv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06
38P 미리보기
불교 윤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동물실험과 찬․반의 갈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15권 / 1호 / 108 ~ 145페이지
    · 저자명 : 정하연(성엽)

    초록

    21세기는 애완동물의 시대라 할 수 있을 만큼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는 해마다 크게 증가하며, 동물에 대한 인식도 ‘애완’의 단계를 넘어 ‘반려’의 지위로 올라서고 있다. 이 같은 동물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더욱 대두되는 것이 동물권에 대한 문제로, 이 가운데는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갈등이 포함되어 있다.
    동물실험과 이를 둘러싼 찬․반의 대립은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근대 들어서며 대중적으로 불거져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용성과 대안의 부재 등 현실적 입장과 동물과 인간의 평등성을 주장하는 윤리적 입장은 현재까지도 절충점을 찾지 못하고 많은 윤리학자의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근에는 동물실험을 둘러싼 견해에 대해 학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보고서가 연구되는가 하면, 종교학계에서도 각 계의 교리적 관점에서 동물실험을 둘러싼 해법을 연구하는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이 같은 사회문제에 종교가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종교가 지닌 사회화나 교육의 기능 때문일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종교는 사회와 함께 발생하고 발전하였으며, 구성원들의 윤리적․철학적 교육을 암묵적으로 담당해 왔다. 즉, 사회구성원을 해치거나 사회제도에 반하는 교리를 가진 종교는 세월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레 외면되어 소멸되었다.
    이에 본 고는 동물실험과 이를 둘러싼 찬성과 반대의 대립을 불교 교리에 배대하여 윤리적 관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불살생(不殺生)’을 중요 계율로 삼고 있으나, 동물실험과 이를 둘러싼 찬․반의 대립은 이러한 단편적이고 결정론적인 계율로는 적절한 타협점을 찾을 수 없다. 이에 붓다 초전법륜의 하나인 연기사상과 실천행을 강조하는 『화엄경』의 바라밀사상에 비추어 동물실험에 배대하였다.
    연구결과 동물실험과 이를 둘러싼 갈등의 대립은 어느 한 단면만을 주장하는 이차원적 이론을 실천행에 적용한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기법칙에 의거한 다차원적 인과의 이해와 이를 토대로 한 실천행을 제시함으로써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갈등에서 벗어날 이론적 적립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pets,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increases significantly every year, Awareness of animals is also rising to the status of 'companion' beyond the stage of 'pet'. Along with this change in perception of animals, the issue of animal rights is even more emerging, including ethical conflicts over animal testing. Animal testing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s and cons surrounding it had already existed for a long time, but in the modern era, it became popular and began to be discussed in earnest.
    However, the realistic position, such as usefulness and lack of alternatives, and the ethical position that insists on the equality of animals and humans have not been able to find a compromise until now, and arouse debate among many ethicists. Recently, reports analyzing scholars' opinions on the views surrounding animal testing have been studied,while papers have also been published in religious academia to study solutions surrounding animal testing from the doctrinal perspective of each system.
    The reason why religion is interested in such social problems may be because of the function of education it has. Religion arose and developed with society, and has been implicitly in charge of ethical and philosophical education of its members. In other words, religions that harm members of society or have doctrines that go against the social system naturally turned away and disappeared over time. Accordingly, this content seeks to consider an ethical perspective by disposing of animal experiments and the confrontation of pros and cons surrounding them to Buddhist doctrines.
    Buddhism basically uses "fire and death" as an important discipline, but the confrontation between animal testing and the pros and cons over it cannot find an appropriate compromise with these fragmentary and deterministic discipline. Accordingly, it was substituted for animal experiments in light of the Baramil idea of 『華嚴經』 which emphasizes acting ideas and practice, one of the Buddha's early teaching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theory and practice that claims only one side of animal experimentation and the conflict surrounding it. It is expected that theoretical accumulation will be established to escape from ethical conflicts over animal testing by presenting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causality based on the law of acting and practical behavior based o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