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언어로서의 ‘원시반본(原始返本)’ 개념 재검토 (Re-examining the Concept of ‘Seeking Out the Original Root (原始返本)’ as an Example of Religious Languag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7.12
37P 미리보기
종교언어로서의 ‘원시반본(原始返本)’ 개념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대순사상논총 / 29권 / 171 ~ 207페이지
    · 저자명 : 차선근

    초록

    대순진리회에서 사용되는 여러 종교언어들의 개념을 확립하는 연구는 아직 미완이다. 이 글은 이에 대한 문제 제기로서, 그 첫 사례로 대순진리회의 종교언어 가운데 하나인 원시반본(原始返本)을 설명한 기존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관점에서의 개념을 다시 제기해 본 것이다.
    원시반본은 대순진리회가 구축하는 종교적 세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도가 높다. 그런데 원시반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거의 모두가 ‘복귀(Returning)’라는 관점과 ‘순환사관’을 견지하고 있어서, 그 종교언어가 구축해내는 종교적 세계는 과거를 지향점으로 삼는다거나 혹은 우주의 순환법칙에 따라 저절로 구현되는 것이라는 오해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대순진리회 세계관을 제대로 설명해내지 못한다. 왜냐하면 대순진리회는 상제께서 행하신 개벽공사와 그 결과물인 후천 지상선경이 운수에 없던 것이자 과거에 존재한 적이 없었던 유일무이한 것이라고 규정하기 때문이다.
    원시반본 개념은 복귀와 순환사관의 틀에서 탈피하여 대순사상의 고유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져야만 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이 글이 제시했던 원시반본 개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후천 개벽을 이루기 위한 천지공사의 원리 가운데 하나인 원시반본은 문명ㆍ문화ㆍ도법 등 모든 것의 근본과 근원을 찾아가는 것이다. 찾았다면 그 뿌리와 시작점에 대한 사실 관계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그 인정했던 것을 유지ㆍ계승ㆍ사용하거나, 철폐하거나, 해소ㆍ보수ㆍ수정하게 된다. 그리고 대개 그 근본은 보은의 입장에서 다루어진다. 이 모두는 상제의 결정과 공사에 이루어지는 일이며, 이렇게 만들어진 그 결과물은 후천 지상선경의 문화를 건설하기 위한 기초로 활용된다.” 이러한 개념 설정은 복귀 및 운도론적 순환사관을 배제시킨 것이며, 역동적 구조주의 관점에 입각하여 단계를 따라가는 유동적인 틀로써 원시반본의 개념을 담아내었다는 점에서 원시반본에 대한 기존 연구들과는 차별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regarding religious concepts used in Daesoon Jinrihoe are still incomplete. This study is a suggestion to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research on ‘seeking out the original root(原始返本)’, one of the religious terms of Daesoon Jinrihoe. In addition, this concept will be seen from a new perspective.
    ‘Seeking out the original root’ plays a major role in Daesoon theology due to the cosmology established by Daesoon Jinrihoe.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on this topic are prone to the perspective of ‘returning’ and assuming a ‘cyclical view on the order of history’. Therefore, the cosmology that has been built by the religious language misleads readers to assume a retrospective process or that the process itself is realized on its own in accordance with the cosmic order. These kinds of studies do not specifically manifest the world view of Daesoon Jinrihoe. They fail to do so because Sangje’s reordering works and its fruit, the earth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have never existed before.
    The concept of ‘seeking out the original root’ should break away from the frame of a cyclical view of history and exert the uniqueness of Daesoon Jinrihoe. In this regard,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eeking out the original root’, one of the principles needed to achieve the re-creation of the Later World, endeavors to find a way to account for the origin of all things such as civilizations, cultures, and dharmas. If such a way is found, the facts between the root and the beginning should be acknowledged, as the root itself is what has been sustained, succeeded, used, resolved, revised, and rectified. The origin is usually dealt with from the position of rewarding. This was all achieved in Sangje’s decisions and his reordering works. Its outcome will be utilized as a basis to establish an earthly paradise in the Later World.
    This concept, as defined above, excludes a cyclical view of history and implies that the concept of ‘seeking out the original root’ is a flexible frame within the context of dynamic structuralism. Given the style of this approach, this study provides a view which can be easily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순사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