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구대 암각화 고래도상의 미술사적 의의 (The Iconographic meaning of Rock Carving Whale Images on the Bangudae)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6.12
19P 미리보기
반구대 암각화 고래도상의 미술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7호 / 89 ~ 107페이지
    · 저자명 : 주수완

    초록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 도상은 위에서 본 고래의 모습과 고래들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으로 묘사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해 고래가 죽어서 뒤짚혀진 모습이라거나 혹은 죽은 고래들의 영혼이 승천하고 있는 모습이라는 가설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고래 묘사가 암각화 제작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이 고래를 잡기 위해 배 위에서 바다에서 헤엄치는 고래를 내려다본 모습으로 표현한 것이며, 특히 고래사냥 과정에서 고래를 뒤쫓는 과정에서 달아나는 고래들을 위쪽을 향해 움직이는 것으로 묘사한 것으로 해석해보았다.
    암각화에 묘사된 고래사냥의 과정에 대해서는 고래들 사이에 묘사된 배의 형상이 알래스카의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우미악이라는 배의 일종이며, 이들이 일시적으로 고래를 따라 동해안으로 이동하여 사냥했던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혹은 실제 바다에 나아가 사냥한 것이 아니라 해안에 떠밀려온, 혹은 썰물 때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고래를 해안가에서 사냥했던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만약 일시적으로 들어온 이주민들이 고래를 사냥했던 것이라면 그들이 바위에 영구적으로 남길 조각을 계곡 깊숙이까지 들어와 했을 가능성이 희박하며, 또한 해안가의 고래를 사냥한 것이라면 이렇게 다양한 고래가 일사분란한 모습으로 누워있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이들이 실제 비교적 먼 바다까지 나아가 사냥했던 것으로 추정했다.
    더불어 다른 물고기는 없이 오로지 고래가 집중적으로 묘사된 것, 그리고 육상동물에 대한 사냥과 바다에서의 포경이 함께 파노라마적으로 묘사된 것은 반구대의 사냥장면이 일상적인 사냥이 아니라 제천행사를 위한 대규모 사냥대회를 묘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해보았다. 이들 암각화들이 한꺼번에 조성되지는 않았겠지만, 현재와 같이 육상, 해양 동물이 시간차를 두고 조성되었다고 한다면 어느 한쪽을 제거하고 봤을 때 전체 화면의 완결성이 현격히 떨어지는 점을 들어 육상·해양 장면은 처음부터 함께 묘사될 의도를 지니고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영어초록

    The rock carving whale images on Bangudae are characterized as they were depicted to a view from top to bottom and moved to upper direction. These aspects have been variously explained as it means these depicted whales were in dead or thier soul were ascensioning. But this essay tried to interpret it as they were depicted in this figure because they were described from the view of whale hunter on the boat who lived the contemporary period with the creater of this rock carving images. And the moving to upper ditection means the whales were in condition of running away from the whale hunters.
    About the depicted scene of process to whale hunting, former researchers have ever explained the boat between whales is 'umiack' which are still used in Alaska native, and it means the hunters in Bangudae would be come from Alaska along the sea side of Okotsk and East sea of Korea Peninsula. The other opinion suggest that the hunting was done at not on ocean but at the sea shore to hunt the whales who were wracked.
    But it can be a question that why the emigrant whale hunters from so far Alaska intended to leave a permanent carvings at so deep valley being far away from sea shore. And if the whales were in condition of wracked, why were they depicted in so good order as almost one direction? With these questions, the panoramic scene of simultaneously hunting of the whales and the animals in both place of sea and fields made us to regard it as not just a ordinary daily hunting but a huge hunting ceremony for harvest ritual. Even though these all images were not carved at the same time, but it is doubt that the whales and animals are belong to differnt period. Because if one's absence to the other looks too much unbalanced composition. So it looks more natural to interpret that the all creatures are originally intended at the beginnig of whole rock carving pl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