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구 반이성주의 미학과 미노타우로스 (The occidental anti-rationalism aesthetics and Minotau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3.08
20P 미리보기
서구 반이성주의 미학과 미노타우로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51호 / 77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세리

    초록

    고대로부터, 신화 속에 등장하는 상징적 도상들은 그것이 함축한 풍부한 의미와 해석으로 말미암아 여러 예술 장르에 지속적인 영감을 주어왔다. 오랜 세월 동안 서구 정신사를 지배해 왔던 그리스 신화 속에는, 스핑크스, 켄타우로스, 그리핀, 키마이라, 히드라 등의 수많은 잡종 괴물들이 등장한다. 이 괴물들 중 특히 소의 머리와 인간의 몸을 지닌 미노타우로스는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조형 예술의 영역에서 가장 사랑받는 테마들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이토록 이 신화와 괴물에 관해 지대한 관심을 지니는 것일까? 우리는 미노타우로스라는 괴물에 대한 오랜 관심을 고찰하면서, 이 괴물의 수용과 변화 과정을 문화 미학적 양상과 결부시켜 볼 수는 없을까? 본고는 이 점에 착안하여, 현대의 반이성주의 미학과 미노타우로스 형상을 수용하는 과정 간의 연관성을 시대를 거쳐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스인들에게 있어 테세우스는 미노타우로스라는 괴물을 무찌른 영웅이었음과 동시에 ‘이성’이나 ‘문명’을 뜻하는 명칭이기도 했는데, 그 이유는 그가 미노타우로스라는 불순한 잡종 괴물, 즉 문명과 상반되는 자연적 야수성을 제거했기 때문이다. 20세기에 이르러 이 괴물은 무의식의 야성적 욕망 내지는 비이성의 육화를 추구하던 피카소, 살바도르 달리, 그리고 앙드레 마송과 같은 현대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의 정신을 통해 부활한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의 혁명적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 발간한 잡지 이름을 『미노타우로스』라 명명하고, 이를 꿈과 무의식의 발현을 추구한 초현실주의자들의 정신을 대변하는 하나의 상징으로 삼는다.
    이후 작가 보르헤스는 자신의 소설 『아스테리온의 집』에서, 사회로부터 고립된 현대인의 초상을 그려내고, 철학자 질 들뢰즈는 이 괴물에 내재한 ‘디오니소스’의 이미지를 그려낸다. 이로부터 우리는 미노타우로스와 더불어 현대 미학의 동향, 다시 말해 그간 서구 문화 내에서 이성이 차지하던 권위가 와해되는 과정을 목도하게 된다.

    영어초록

    Since ancient times, the symbolic icons in the ancient myth, have continued to inspire the arts, with its fecund meaning and interpretation. Especially in the Greek myth that dominated the history of the occidental mind for a long time, there are hybrid monsters. Among them, Minotaur that has the head of a bull and the body of a man, is one of the favorite themes in plastic art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But why has the human being a great passion on this myth and this monster? Can we link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change of this monster, the aesthetic-cultural aspect reflecting the interest of the Minotaur?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modern anti-rational process of acceptance of this figure, Minotaur, through the ages.
    For the Greeks, Theseus was a hero who conquered the Minotaur, and at the same time, he is another name for 'reason' or 'civilization', due to the elimination of the hybrid impurity of Minotaur. However, this monster is resurrected by the spirits of contemporary artists like Picasso, Salvador Dali and André Masson as the embodiment of the irrational and the wild unconscious desire. In addition, in the 20th century, the surrealists published a journal called <Minotaur> in which they expressed their revolutionary intents, and this monster has become a symbol that represents the surrealistic spirit.
    After Borges drew the isolated portrait of Minotaur in his novel, Gilles Deleuze also added the image of 'Dionysus' in this monster.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approach the goal of modern aesthetics, in other words, destruction of the authority of occidental reason with Minotau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