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한국의 반(反)글로벌 상상을 통해 보는 외래성(Foreignness)의 미디어사회문화사 시론 (Anti-Foreign Imaginaries in the 1980s and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Socio-Cultural History of Foreignness in South Korea)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5.02
50P 미리보기
1980년대 한국의 반(反)글로벌 상상을 통해 보는 외래성(Foreignness)의 미디어사회문화사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사회 / 33권 / 1호 / 116 ~ 165페이지
    · 저자명 : 김지윤

    초록

    이 연구는 이동(성)과 세계(성)가 만나고 확장한 국면의 하나였던 1980년대 한국의 시공간에서 개방화, 국제화, 이동의 자유화라고 일컫는 변화 속에 작동한사회적 상상의 일부로서 위협 및 불안의 감각이 발현된 층위와 기제를 탐색한다. 분석 결과, 영토성, 이동성, 유동성, 혼종성을 축으로 구성된 외래성, 외부성, 외국성, 외인성의 상상(foreign imaginations)이라는 틀을 통해 당면한 국제화국면에서 생성 또는 재조정되는 글로벌 접촉(global encounter)의 감각, 외부ᐨ 세계 인식의 특징 및 맥락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비가시적 흐름과 상상적 이동성의 속성을 외부로부터의 조류, 외제, 외세, 외인성 질병 등 네 가지 언표를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반(反)지구화적 언설을 통해 표출된 불안과 위협의 감각, 타자ᐨ세계 상상의 방식은 영토성과 신체에 대한 당시 인식을 드러내며, 기존사회적·역사적 집합기억의 환기 속에 안과 밖의 관계 및 경계 인식이 재조정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글로벌 모빌리티의 주요 국면 내 동역학을 밝히고 외부 세계 및 타자 상상의 긴 계보 내에 위치시키는 작업에는 보다 다양한 맥락 속 타자성의 상상들이 가능했고 또 가능함을 예증하며 우리 사회의 시공간적 경험을 상대화, 맥락화, 역사화하는 문화정치적 함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layered dimensions of foreignness in the 1980s South Korea and brings into focus its specific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that shaped the meaning of ‘the foreign.’ By examining articles from periodicals and newspapers related to opening and internationalization, global mobility, and tourism, this study identifies four significant ways in which foreign influences were perceived: metaphors of flow, foreign powers, foreign goods, and foreign diseases. These exemplary signifiers of ‘foreignness’ illustrate how foreign imaginations gradually permeated from the national territory to the individual body, encompassing abstract allegories to reified materiality. Such foreign imagination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feelings of threat and anxiety, reminiscent of Korea’s historical experiences and shared memories of foreign invasions in both premodern and modern eras. The findings reveal the social imagineries of this conjuncture called ‘opening and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consequent securitization, reflecting responses to the perceived impending shift towards globalization through increased global mobility and border open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론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