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센류(川柳) 작가 쓰루 아키라(鶴彬)의 반전평화운동 (Tsuru Akira’s Antiwar Peace Movement in 193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2
55P 미리보기
센류(川柳) 작가 쓰루 아키라(鶴彬)의 반전평화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61호 / 221 ~ 275페이지
    · 저자명 : 가츠무라 마코토, 박미경, 윤소영

    초록

    쓰루 아키라(鶴彬, 1909~1938)는 센류 관계자나 프롤레타리아문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 사이에서는 치안유지법에 희생된 프롤레타리아 센류 작가, 反戰 센류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5·7·5음의 정형시인 ‘센류(川柳)’라는 장르가 일본문학에서 예술적으로 높이 평가 받지 못한 점도 작용하여, 그의 존재는 일본에서 널리 알려진 존재는 아니었다.
    쓰루 아키라는 군에 입대한 후 1930년 7월에 군대 내에서 反軍 활동을 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1931년 5월 군법회의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판결을 받고 1933년 2월 오사카 위수감옥에 투옥되었다. 1932년 4월 29일에 상하이에서 의거를 결행하고 육군대장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등을 응징하여 한국독립운동사에서 ‘義士’로 높이 평가받는 윤봉길은 1932년 11월부터 12월에 같은 오사카 위수감옥에 투옥되었다. 윤봉길과 쓰루 아키라 두 사람은 같은 시기에 같은 장소에서 지냈다는 신기한 인연이 있는 것이다. 1933년 12월에 제대한 쓰루 아키라는 그 후에도 탄압에 굴하지 않고 당시의 정부와 군부를 비판하여 한층 격렬하게 反戰 센류를 창작했다.
    이 논문은 쓰루 아키라의 센류 작품활동 시기를 첫째, 지방신문에 센류를 투고하면서 프롤레타리아 하이쿠(俳句)에 뜻을 둔 제1기(1924.10~1926. 여름), 둘째, 프롤레타리아 센류 작가로서 창작과 정치활동을 연결하여 활동한 제2기(1926.가을~1930.1), 셋째, 군대에서 제대한 후(1934.1.~1937.12)의 제3기로 나누고, 주로 제3기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 시기는 쓰루 아키라가 군대를 제대한 후 도쿄로 근거지를 옮겨 창작을 재개하고 곧 다시 치안유지법에 의해 검거되어 창작활동이 단절되기까지 겨우 4년 남짓한 기간이었다. 필자는 이 시기의 쓰루 아키라의 창작활동을 반전평화운동으로 자리매김하여 쓰로 아키라의 작품을 통하여 그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쓰루 아키라는 병역기간 중에 징역형을 받아 투옥되어 활동이 중단되었던 1930년부터 1934년까지 제2기의 자신의 창작활동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작품 대부분이 “공식적인 정치적 분노나 이데올로기에 빈약한 살을 덧붙인 관념적인 報告에 불과했다”고 혹평했다. 그리고 새로운 센류의 기법을 모색하여 그는 첫째, 「古川柳」의 세련된 기술을 배우고, 둘째, 「신비주의 센류」의 상징적 기술을 소화하고, 셋째, 이를 소화 혹은 지양함으로써 ‘작자의 개성과 재능과 기술’에 부응한 ‘내용과 형식에 대한 창조적 탐구 및 창조적 발전’을 꾀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이러한 쓰루 아키라의 센류는 5·7·5의 총 17음으로 담을 수 없는 고발문학의 경지로 발전해갔다. 그리고 쓰루의 고발의 시선은 소외된 빈곤지대, 기아에 신음하는 농촌, 조선인 차별, 전쟁에 고통을 받는 민중을 향하였고 권력과 군부에 대한 내재적인 비판을 향해 돌진했다.
    일본이 1937년 7월에 중국과의 전면전쟁에 돌입하고 국가 전체가 전쟁일색이 되었어도 그는 계속 反戰 센류를 창작했다. 이러한 쓰루 아키라의 활동은 센류 문단에서도 위험시되어 마침내 특고경찰에 의해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검거되며 구치소 안에서 이질에 감염되어 그 여독으로 29세의 생애를 마감했다. 이 논문은 당시 전면전쟁에 돌입한 일본사회에 대해 자신의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끊임없이 경종을 울린 쓰루 아키라의 사상과 작품에 빛을 비추고자 한다.

    영어초록

    Tsuru Akira (1909-1938) is well known among appreciators of Senryu and proletarian literature as a proletarian Senryu poet, a victim of Peace Preservation Law, and an anti-war Senryu poet. However, perhaps partly because of Senryu’s five-seven-five syllable construction, Senryu have not been afforded a particularly high level of artistic appreciation within the world of Japanese literature, and Tsuru Akira is not a well known figure among the Japanese public.
    While serving in the military in July 1930, Tsuru was arrested on suspicion of anti-military activities. He was sentenced under the Peace Preservation Law in May 1931 and imprisoned in Osaka Military Prison until February 1933. Yun Bong-gil,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who heroically killed Imperial Japanese general Yoshinori Shirakawa in Shanghai on April 29, 1932, was also held at the same prison from November to December, 1932. This strange turn of fate brought Tsuru and Yun together.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in December 1933, Tsuru did not hold back on his criticism of the military and the government of the time, and continued to write increasingly scathing Senryu.
    This paper categorizes Tsuru’s activities as a Senryu poet into three distinct phases: his first phase (October 1924-summer 1926) during which, after having his Senryu published in a local newspaper, he began writing proletarian haiku; his second phase (fall 1926-January 1930) when he began to link his work as a proletarian Senryu poet to his political activities; and his third phase (January 1934-December 1937) which began after his discharge from the military.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I focused primarily on this third phase. During thisphase, the recently discharged Tsuru moved to Tokyo and resumed writing until his career was cut short by his arrest for violating the Peace Preservation Law just four years later. This paper argues that Tsuru’s writing during this period constitutes anti-war, pro-peace action, and attempts to understand Tsuru’s thoughts through his work.
    “Due to his imprisonment during his term in the military, Tsuru was forced to stop working between 1930 and April 1933. However, during this period, he was able to reflect on his second phase activities. Much of Tsuru’s work from this time has been harshly criticized for being no more than public political outrage, weak expounding of ideology, and speculative reporting. In any case, Tsuru, who was trying out new Senryu writing techniques, declared his intention to 1. learn the refined techniques of traditional Senryu, 2. study the symbolic techniques of religious mysticism, and 3. absorb and sublate these techniques to creatively explore and develop content and form, taking into account the poet’s individuality, talent, and techniques. Thus, Tsuru’s poetry opened up a new field of subversive literature which did not neatly fit into the conventional five + seven + five = 17 syllable construction of Senryu. Tsuru turned his critical eye to the poor areas that had been left behind, starving farming villages, Korean people struggling against discrimination, and a populace enduring the hardships of war; he was unflinching in his continued and complete denunciation of the military and those in power.
    “Even when full-scale war with China broke out in July 1937, plunging the entire country into chaos, Tsuru continued writing anti-war Senryu. Even those in the Senryu scene began to regard Tsuru as dangerous, and he was arrested by the Special Higher Police for his violation of the Peace Preservation Law, contracting dysentery in prison and succumbing to the disease.
    This paper shines a light on the work and thoughts of a man who, risking his own life, continuously sounded the alarm bell as Japan marched along its path to all out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