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문단의 안과 밖 - ‘딱지본 대중소설’의 원천으로서 노자영 소설 (The inside and the out side of literary circle in the 1920’s — No, Ja-Young’s novels as the source of ddak-ji-bon popular novel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3.05
29P 미리보기
1920년대 문단의 안과 밖 - ‘딱지본 대중소설’의 원천으로서 노자영 소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46호 / 389 ~ 417페이지
    · 저자명 : 조경덕

    초록

    노자영은 ‘백조’ 동인이며, 『사랑의 불꽃』, 『반항』 등의 저작·출판으로 1920년대 중반 상업적 성공을 거둔 작가다. 노자영은 ‘연애’를 다룬 작품으로 상업적이며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거듭된 표절 의혹으로 문인으로서 위신은 잃었다. 외국 작품의 번역에 버젓이 자신의 이름을 작자로 덧붙여 지면에 발표한 것이 번번이 다른 문인에 의해 밝혀진 것이다. 또한 대중의 인기를 누린 작품이 문단에서 요구하는 눈높이에 미달한다는 것도 문제가 되었다. 노자영의 소설에는 부정의 정신과 대상에 대한 거리감각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러한 까닭으로 노자영은 문단에서 ‘배제’되었는데, 이는 1920년대 문단이 제도화되고 전문화되며 소설계가 재편되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노자영의 소설은 비록 노자영과 함께 문단에서 ‘배제’되었지만 청춘 남녀들의 사랑을 통속적으로 다루는 딱지본 장정의 대중소설, 즉 ‘딱지본 대중소설’로 전화(轉化)되어 대중 독서 시장에서는 더욱 활발히 독자들에게 읽혔다. 그만큼 ‘연애’ 담론에 친숙한, 근대적 교육을 받은 독자층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딱지본 대중소설’은 당대 문화의 지층을 탐사하는 데 요긴할 뿐만 아니라 문학사 뒷면의 문학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한편 이들 ‘딱지본 대중소설’의 작자는 습작기의 작가나 학비를 벌어야 하는 학생들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예로 이무영과 월파 김상용을 들 수 있다. 특히 김상용의 『동정의 루』는 노자영의 소설을 참조하여 창작되었는데 이것을 통해 당대 ‘딱지본 대중소설’이 노자영 소설로부터 받은 영향과 ‘딱지본 대중소설’의 존재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No, Ja-Young is a writer who achieved commercial success with the flame of love , resistance in 1920’s. But he lost prestige as a writer because of the frequent plagiarism. Fellow writers didn’t allow that he was a writer, for they thought that he wrote less than worthy novels. No was excluded from Literary circle, that is not the problem of a writer but the symbolic event which means the specialization of Literary circles at that time.
    No’s novels had something to do with ‘sin-pa-so-sul’, that is dime novel and is made of ‘ddak-ji-bon’. The former provided a triggering event and the latter were written much after the model of narration and sensibility of the former. They fell to be recoded but was present as an undercurren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more it is far from ‘sin-pa-so-sul’, the more it is a good novel. In that sense, writers regarded ‘sin-pa-so-sul’ as reference model from the denial side. Therefore, the study of ‘sin-pa-so-sul’ provides new view point of prospect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