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기(傳記)서사와 역사서사의 비교 연구- <박ᄐᆡ보실긔>와 <쇼듕화역ᄃᆡ셜>의 ‘박태보일화’를 중심으로 (Research on Comparison of Biographical Narrative and Historical Narrative - Focusing on ParkTaebosilgi and Park Taebo Ilhwa(story on Park Taebo) in Sojunghwayeokdaeseol)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4.09
25P 미리보기
전기(傳記)서사와 역사서사의 비교 연구- &lt;박ᄐᆡ보실긔&gt;와 &lt;쇼듕화역ᄃᆡ셜&gt;의 ‘박태보일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81권 / 71 ~ 95페이지
    · 저자명 : 윤보윤

    초록

    이 논문은 <박ᄐᆡ보실긔>와 <쇼듕화역ᄃᆡ셜>의 ‘박태보일화’를 중심으로 전기소설과 역사서사의 관계에 대해 비교 연구한 것이다. 두 작품은 동일한 소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두 1916년에 간행 혹은 필사되었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당시 독자층의 호기심은 이러한 독서물이 인기리에 유통되도록 하였다. 박태보는 인현왕후의 폐비 문제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 참혹한 친국을 당하면서도 간언을 올리다 죽음을 맞은 인물이다. 독자들은 이러한 충신의 이야기에 열광하였고 이것을 소재로 다양한 장르가 재생산되기에 이르렀다. 먼저 <박ᄐᆡ보실긔>는 박태보의 어린 시절과 환로에서의 이야기를 통해 그의 강직한 성품을 부각하였고, 주변 인물의 꿈 이야기를 활용하여 복선 장치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친국 장면에서는 대화체와 묘사의 방법을 구사하여 소설적 형상화를 이루었다. 박태보를 오직 충신으로 부각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체 서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써 그의 교훈적인 면모가 집중적으로 드러난다. 반면에 <쇼듕화역ᄃᆡ셜>의 ‘박태보일화’는 분량의 제약 때문에 친국 장면만을 다룬다. 그러나 당시 사건의 인과 관계를 보여 주어 기사환국과 관련한 여러 인물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작가가 역사적 안목을 바탕으로 유의미한 사건을 선택하고 배열하면서 박태보의 충신 이야기를 삽입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의 이해와 문학적 효용의 관점에서 두 작품 모두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작품이 활발하게 유통되던 20세기 초반 독자와 작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시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독서물의 사정 또한 짐작할 수 있다. 이들 작품의 작가는 실존인물의 실상을 독자들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고 그것을 교훈 삼게 하려는 창작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독자층은 작품 속 주인공이 가진 삶의 가치에 열렬히 동조하였다. 역사서사는 전기소설에 소재적 측면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시기 훌륭한 독서물로 유통되어 양자가 더불어 향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dissertation examined biographical narratives and historical narratives focusing on ParkTaebosilgi and Park Taebo Ilhwa in Sojunghwayeokdaeseol. The two works are formed based on the same subject matter, and were actively circulated by attracting the interest of the public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ParkTaebosilgi was published in 1916, and Park Taebo Ilhwa in Sojunghwayeokdaeseol was transcribed in the same year, thus, the curiosity of readers regarding a historical incident at the time can be said to have appeared through the popularity of such publications.
    Park Taebo encountered death by saying remonstrating words to fulfill his duty as a servant until the end, while suffering direct interrogations by the King Sukjong, due to arousing the anger of the King Sukjong by opposing the disposal of Queen Inhyeon. The story of such a loyal servant was an adequate subject matter for reading, thus, was reproduced in various genres.
    The entire narrative of ParkTaebosilgi was undertaken only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Park Taebo as a loyal subject. The story focused on revealing instructive aspects of the character after setting a historical being that actually existed as the main character. On the other hand, Park Taebo Ilhwa in Sojunghwayeokdaeseol inserts the story of Park Taebo by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meaningful incidents based on the author’s historical perspective.
    The two works are both worth of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actual understanding and literary ut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and author at the time in which the works were actively circulated can be understood. Moreover,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conditions in which the books using historical incidents as subject matters were written in early 20th century based on such. The authors of the works show a creative will to deliver maximum accuracy of truth to readers regarding a human being that existed in real life and to enable readers to take such truth as a lesson.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enjoying the work fervently sympathized with the value of life of the main character. While the historical narrative was applied to the biographical narrative from a subject-matter perspective, it can be assumed that the two works were enjoyed in a supplementary manner, as the works were circulated as outstanding reading materials during the same tim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