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하소설의 발산형(發散型) 여성인물 연구 - <완월회맹연>의 ‘박씨’를 중심으로 (A Study on Expressive Female Characters in River Novels - Focused on Ms Park in Wanwolhoemaengye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6.06
34P 미리보기
대하소설의 발산형(發散型) 여성인물 연구 - &lt;완월회맹연&gt;의 ‘박씨’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32호 / 353 ~ 386페이지
    · 저자명 : 한길연

    초록

    본고에서는 <완월회맹연>의 ‘박씨’를 중심으로 대하소설의 ‘발산형(發散型) 여성인물’의 한 양태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선악을 중심으로 한 여성인물 분류방식에서 벗어나 고전소설의 여성인물을 여성의 입장에서 새롭게 재배치해 보고자 하였다.
    박씨는 자기중심적 성향이 강한 인물로, 자신의 감정표출에 거리낌이 없다. 그녀는 여성교훈서에서 강조하는 규범에서 벗어나, 자신의 분노, 기쁨, 슬픔 등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표출함으로써 문제적이면서도 생동하는 인물로 부상한다. 그렇기에 박씨는 교화되어야 할 인물에 가깝게 그려짐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부정적인 인물로만 형상화되지 않는다. 남편의 박대에도, 시어머니의 모해에도 꾹꾹 참으면서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여주인공 장성완, 이자염 옆에서, 박씨가 남편, 사위, 사돈에 대해 자신의 감정을 마음껏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깊다.
    기실 조선후기 음양의 원리를 적용한 남녀관 속에서 여성은 감정표출에서 많은 규제를 받음으로써 온전한 자아를 형성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화나거나 슬픈 일이 있어도 온화한 표정만을 지어야 했던 당대의 여성은 일종의 ‘감정노동’에 가까운 고통 속에서 ‘거짓 자아’에 가까운 모습으로 살아갔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실상을 바탕으로 했을 때, <완월회맹연>의 박씨라는 인물을 단순히 소인형 혹은 악인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기존에 여성인물을 선인형 대 악인형으로 구별하는 것은 주로 음양론에 바탕한 남성 중심적 여성관에 기반한 것이기에, 여성을 중심에 놓고 여성인물을 다시 분류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방법 중 하나로 여성의 자율적인 자기표현 특히 당대 규범에 물들지 않은, 인간 본연의 욕구와 관련한 감정표출의 정도에 따라 여성인물을 나누어 본다면, 박씨와 같은 인물은 ‘발산형(發散型) 인물’, 장성완과 같은 인물은 ‘인내형(忍耐型) 인물’로 분류할 수 있다.
    발산형 인물, 인내형 인물의 하위 스펙트럼은 다양하며, 그 중 발산형 인물의 경우에는 박씨와 같은 인물형뿐 아니라 기존의 악인형, 바보형 인물 등까지도 포괄한다. 이 중 박씨와 같은 인물형은 독자의 공감을 자아내기에 적당하다. 독자는 악인형 인물에 대해서는 지나친 악행으로 인해 쉽게 동조하기 어렵고, 바보형 인물에 대해서는 그들의 어처구니없는 감정표현에 쉽게 공감하기가 어려우나, 박씨와 같은 인물형에 대해서는 적당히 지각도 있고 그렇게 악하지도 않은 인물이기에 동조하기가 쉽다.
    박씨는 발산형 인물 가운데서도 대하소설의 ‘뺑덕어미형 인물’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인물로, <완월회맹연>은 박씨로 인해 이념과 현실, 비장미와 골계미가 균형을 이루게 된다. 박씨는 규범의 굴레 속에 묵종(黙從)으로만 일관하는 여주인공 옆에서 작품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여주인공으로 인한 독자의 답답한 감정을 대리 발산해 줄 수 있는 인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tried to grasp an aspect of expressive female characters focused on Ms Park in Wanwolhoemaengyeon. Through this I wanted to realign female characters in river novels on standpoint of woman breaking from the classification method centered on good and evil.
    Ms Park is an egocentric character and expresses her emotion without reserve. She rises as problematic and vivid character by diverging from the norm emphasized in women lesson manuals. So she is not described as simply negative character. It is meaningful in a regard that Ms Park freely expresses her emotion on husband, son-in-law, and son-in-law's parents while Jang Sung Wan and Lee Ja Yeom, the heroins, who hide their emotion bearing husband's poor treatment and slanders of their husband's mother.
    Women in feudal society are assumed to have lived with 'false self' in pains of 'emotional labor'. Contemplating these realities of the age, there is a need of reconsideration on restricting Ms Park as simply good or evil character. To divide female characters as good versus evil personae has a tendency of male-centered view of womanhood based on the theory of yin and yang, an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female characters with women as the central figu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natural desire and frank self-expression we can reclassify 'expressive characters' as Ms Park and 'endurant characters' as Jang Sung Wan.
    These two groups have various sub-spectrums, and especially the expressive characters embrace wicked characters and idiot characters as well as characters like Ms Park. Among these groups Ms Park is suitable to arouse the sympathy of readers. Readers can not go around with evil characters or idiot characters, but they are able to sympathize with characters like Ms Park, who is quite discreet and is not so evil.
    Ms Park can be defined as 'Madame Paengduk character' among expressive characters, and Wanwolhoemaengyeon can be balanced with idea and reality, tragic beauty and humor beauty by the existence of her. Ms Park keeps the balance of the work aside heroins who are consistent in applying rules, and plays a role of releasing the readers' stuffy feelings caused by heroi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