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용향악보』의 1행 6대강과 십이 가사의 6박 한 장단 (The 6-Daegang Structure per Line in the Siyonghyang-akbo (時用鄕樂譜) and the 6-Beat Rhythm of the Twelve Gasa (十二 歌詞))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4.06
23P 미리보기
『시용향악보』의 1행 6대강과 십이 가사의 6박 한 장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5권 / 141 ~ 163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본 연구는 현행 십이 가사의 6박 장단이 다소 불규칙하게 운용되는 점에 착안하여 『시용향악보』의 혼소박 6박(즉 1행 16정간 6대강) 구조와 관련성을 밝히려는 시도로 이루어졌다. 김기수는 십이 가사의 6박 한 장단을 설명하면서 한 정간을 한 박으로 세는 현행 십이 가사 한 박의 길이에 신축성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한편 『시용향악보』의 기악지시, 즉 음악의 시작을 나타내는 대강의 역할에서 비롯되는 리듬적 특징이 『삼죽금보』의 가사에도 흔적이 남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용향악보』의 1행 6대강 장단의 리듬형으로 이루어진 노래가 『삼죽금보』의 가사에서 균등한 박으로 인식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시용향악보』의 6대강이 6박으로 인식되어 6정간에 기록되었고, 현재와 같이 6박 한 장단으로 부르는 가사로 변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즉 5+3+5+3의 리듬이 3+2+3+2로 축소되고, 다시 2+1+2+1(즉 3+3)의 6박 단위로 변한 결과로 보인다.
    현행 십이 가사의 6박 장단에 보이는 리듬 특징은 결국 『시용향악보』를 통해 엿볼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의 장단(長短)의 리듬형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불교음악인 화청을 비롯하여 기층의 민요와 농악, 특히 경기이북 지역과 동해안, 함경도 등지의 굿음악에 쓰이는 다양한 혼소박 장단의 특징을 『시용향악보』에서 확인하게 되며 이는 가사의 6박 장단에 나타나는 특징과도 관련이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f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mewhat irregular operation of the current Twelve Gasa (十二 歌詞)'s 6-beat rhythm and the 6-beat (i.e., 16-jeonggan (井間), 6-daegang (大綱) per line) structure of the Siyonghyang-akbo (時用鄕樂譜). Kim Ki-soo noted that the length of each beat in the current Twelve Gasa, which counts one jeonggan as one beat, is flexible while explaining the 6-beat rhythm of the Twelve Gasa.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rhythmic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role of the daegang, which indicates the beginning of music in the Siyonghyang-akbo, also leave traces in the Gasa of the Samjukgeumbo (三竹琴譜).
    It seems that the song, performed in the rhythm form of the 6-daegang per line in the Siyonghyang-akbo, was perceived as having even beats in the Samjukgeumbo's Gasa. This implies that the 6-daegang in the Samjukgeumbo was recognized as 6 beats and recorded in 6 jeonggan, and it evolved into the current form of the Gasa with one 6-beat rhythm per line. Specifically, it appears that the 5+3+5+3 rhythm was reduced to 3+2+3+2, and then further transformed into a 6-beat unit of 2+1+2+1 (i.e., 3+3).
    The rhythmic characteristics seen in the current Gasa's 6-beat rhythm should ultimately be sought in the rhythmic forms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s jangdan (長短), which can be glimpsed through the Siyonghyang-akbo. Various features of the honsopak (混小拍) jangdan used in Buddhist music such as Hwacheong, folk songs, nongak, and especially gut music from regions like Northern Gyeonggi, the East Coast, and Hamgyeong-do, can be identified in the Siyonghyang-akbo, which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6-beat rhythm seen in Ga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