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人이 그려진 가장 오래된 油畫, <朴晦壽 油畫肖像> (The Oldest Oil Painting Existing in Korea: Oil Portrait of Park Hoe-su)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7.12
14P 미리보기
朝鮮人이 그려진 가장 오래된 油畫, &lt;朴晦壽 油畫肖像&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2호 / 206 ~ 219페이지
    · 저자명 : 신민규

    초록

    <朴晦壽 油畫肖像>은 국내에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油畫이며, 중국에서 제작된 朝鮮 使臣의 초상화 가운데 서양인이 그린 것으로는 유일하게 현전하는 작품이다. 종래에는 이 작품이 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실제로는 朴晦壽(1786∼1861)가 1833년의 燕行 때 서양인을 시켜서 그린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에는 연행을 통해 다량의 西洋畫가 조선으로 유입되었고 이는 조선후기 회화의 양식과 기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유입된 그림의 실증적 자료는 피터 솅크(Peter Schenk, 1660∼1719)의 銅版畫 <술타니에(Sultanie) 풍경>과 <박회수 유화초상> 2점 뿐이고, 중국에서도 이 시기의 유화초상에 대한 자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 초상은 희소성의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이 그림의 제작자는 알 수 없다. 다만 제작 시점과 제작 장소, 그림의 양식적 특징 등을 고려해 봤을 때 乾隆年間에 시작된 中西折衷式 유화초상의 전통을 답습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 그림이 여타의 초상화와 구별되는 특이점은 流蘇가 달린 사각의 木龕에 부착되어 보관되었다는 것이다. 유화는 그 재질적 특성상 족자로 만들어 보관할 경우 그림이 훼손되므로, 神主를 보관하는 龕의 형식을 빌려와 보호곽을 제작하였고, 한편으로는 벽에 걸 수 있도록 유소를 목감에 매어서 영정의 기능과 장식성을 유지시켰다. 중국에서 제작된 유화초상은 주로 掛屛 또는 揷屛으로 제작하여 보관했지만, 조선에서는 초상이 주로 祭儀의 대상으로 이용되었기에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신주의 보관 형식을 차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Paintings drawn by westerners or mixed with Chinese and western drawing techniques were imported into Joseon in its late period through the travel to Beijing by an envoy. It had a great effect on painting styles and techniques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re are few empirical data on imported paintings, inevitably resulting in less related studies. Hence, Oil portrait of Park Hoe-su, which is the only extant portrait of the Joseon envoy drawn by a westerner and manufactured in China, has the significant value for material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sino-Korean relation and of eastern-western art exchange.
    Park Hoe-su (朴晦壽) seems to have a westerner draw this painting during the travel to Beijing in 1833 so it may be regarded as the oldest in oil portraits of Joseon people. Its value for material holds good for researching Chinese oil portraits in the early 19th century since there are few related data even in China.
    As a characteristic of this painting, it was kept by attaching to a square fringed wooden box. Oil painting may be damaged owing to a material characteristic if kept in a scroll. Hence, a protective box was made in a form of wooden case (木龕) for keeping an ancestral tablet and functionality of the portrait of the deceased could be maintained with fringe on wooden case. Chinese oil paintings were mainly manufactured and kept into a folding screen. However, in the Joseon Dynasty, portraits were used mainly for a ritual so it seems that keeping method for an ancestral tablet having a function identical to it was borrow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