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兩班傳」 의론의 재고찰-朴趾源의 政論, 「名論」의 맥락에서- (Rethinking of Yangban-jeon(兩班傳)’s Disscussion -Based on Context of Pak Chiwŏn’s Myeongnon(名論)-)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4.04
30P 미리보기
「兩班傳」 의론의 재고찰-朴趾源의 政論, 「名論」의 맥락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90호 / 259 ~ 288페이지
    · 저자명 : 최한영

    초록

    본고는 박지원이 「명론」에서 주장한 ‘이름을 활용한 정치’의 맥락에서 「양반전」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양반전」이 양반의 명분을 둘러싼 소동을 그렸다고 할 때, 주된 대립은 정선양반과 부민이 아닌 관찰사와 군수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정선양반의 막대한 환곡 빚은 가난한 양반의 遊食이 중대한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었던 당대 사회상의 반영이다. 이에 대해 관찰사는 조정의 입장, 위정자의 입장만을 대변하여 일방적으로 양반의 명분을 조정하고자 하였고, 끝내 ‘천 석짜리 양반’을 만들어 정선양반과 부민의 양반 거래를 초래하고 말았다.
    군수는 이에 반발하여 향촌 내 사농공상을 모두 불러놓고 2개의 문권으로 양반의 명분을 공론화하였다. 1차 문권은 천 석의 포흠을 진 정선양반의 명분을, 2차 문권은 천 석을 내고 양반이 되어 이득을 보려고 하는 부민의 명분을 반영하고 있었다. 그 결과 드러난 공론은 정선양반도 부민도 정선의 사민이 받아들일 수 있는 떳떳한 양반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결국 「양반전」은 양반이란 人爵이 아닌 天爵임을 주장함으로써, 지난 사회가 만들어온 양반의 무능력함과 무책임함을 풍자하는 동시에 당대 위정자가 새롭게 조정하고자 하는 양반의 명분이 가진 문제점 또한 강하게 조명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Yangban-jeon in the context of “political utilization of names” that Pak Chiwŏn argued in Myeongnon. When it is said that Yangban-jeon drew a commotion over the cause of Yangban, the main confrontation occurred not between Jeongseon-yangban and the rich, but between the provincial governor and the county governor. Jeongseon-yangban, which had a huge debt of Hwan’gok, reflected the social image of the time when the jobless problem of the poor Yangban became a serious social burden. In this regard, the provincial governor tried to adjust the legitimacy of the Yangban on behalf of the position of the court and the position of only the politicians, and eventually created a “thousand-seok(千石) yangban” that resulted in the transaction of the Jeongseon-Yangban and the rich.
    In response to this, the county governor called all the four occupations in Hyangchon and publicized the legitimacy of the yangban with two literary rights. The first literary right reflected the legitimacy of Jeongseon-Yangban, who had debt of thousand-seok(千石), and the second literary right reflected the legitimacy of the rich who paid thousand-seok(千石) to become a yangban and benefit from it.
    As a result, the public opinion revealed that neither Jeongseon-Yangban nor the rich were proud yangban that could be accepted by Jeongseon's people. In the end, by claiming that yangban is an natural nobility, not a human-made, the Yangban-jeon satirized the incompetence and irresponsibility of the yangban, which had been made in the past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highlighted the problems of the yangban's legitimacy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time wanted to adju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