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편제 흥보가 박타령의 바디별 음악적 구조와 특성 (The Mu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Dongpyenje Heungboga Baktarye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0.06
22P 미리보기
동편제 흥보가 박타령의 바디별 음악적 구조와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0호 / 87 ~ 108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이 논문은 동편제 흥보가를 전승하고 있는 박봉술, 강도근, 박녹주, 오정숙의 네 창자가 부른 박타령의 선율을 비교하여 같은 유파이지만 개인적 특성에 의해 음악이 얼마나 다르게 표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흥보가 박타령은 민요의 메기고 받는 방식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즉 박타령의 가사는 민요의 후렴구와 같은 가사를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박타령의 내용은 소재에 의해 밥, 가난, 자식, 마누라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단락의 길이는 4장단, 6장단, 8장단 등 대개 짝수 단위로 끊어지며, 후렴 역시 2장단, 4장단이 많고 간혹 3장단이 사용되기도 한다.
    둘째, 박봉술, 강도근, 박녹주 등은 음향자료별로, 또는 사설집별로 각각 가사의 구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박타령은 노래 부를 때마다 가사 구성을 신축성 있게 선택하는 특성을 지닌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첨삭이 될 때에는 ‘내용+후렴’을 하나의 단위로 한다.
    셋째, 네 창자의 박타령 사설을 비교한 결과 오정숙의 경우에는 김연수에 의한 개작의 흔적이 많아 보이며, 박녹주의 경우에도 가사 구성이 달라져 있다. 이에 비해 박봉술과 강도근은 대체로 유사한 사설구성을 보이고 있어서 동편제 흥보가 박타령의 근간이 이와 같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넷째, 박타령의 후렴은 네 명의 창자가 유사한 선율을 사용하고 있다. 시작부분에서는 a+b형, 중반에 반복되는 후렴은 대부분 b의 변화형으로 되어 있으며, 종지부분은 b+c, 또는 b나 c를 활용하고 있다. 중반에 반복되는 b의 변화형은 마치 민요의 선율 변화와도 유사하다.
    다섯째, 시김새와 꾸밈음, 사이음 등을 많이 사용하여 선율을 화려하게 꾸미는 경향은 강도근-오정숙-박녹주-박봉술의 순으로 많이 나타난다.
    여섯째, 박타령은 계면조를 위주로 선율이 진행되지만 일부에서 일시적 전조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5도 위의 전조는 박녹주가 사용하였으며, 오정숙은 4도 아래로의 일시적 전조와 관련한 징후가 잠깐 사용되었다. 이에 비해 박봉술과 강도근은 그와 같은 전조는 사용하지 않고 시종 계면조로 일관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박봉술, 강도근, 박녹주, 오정숙의 네 창자는 동일한 동편제 흥보가를 부르고 있으나 각각 독특하고 독자적인 바디를 형성하여 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송만갑제를 잇고 있는 박봉술과 김정문제를 비교적 오롯이 전승한 강도근은 전승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변화를 만들어낸 박녹주와 개작된 김연수제를 다시 변화시킨 오정숙은 변화에 중심이 있어 전승과 변화라는 두 유형으로 성향을 나눌 수 있다. 또한 각 창자의 전승과 변화에 있어서도 개인별 성향이 반영되어 독자적인 소리제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the melody of Baktaryeng sung by Parkbongsul, Kangdogeun, Parknokju, and Ohjungsuk who are all from the same school and are transmitting Dongpyenje Heungboga and examines how music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Heungboga Baktaryeng is structurally similar to folk song in terms of sending and receiving lyric. The lyrics of Baktaryeng regularly repeats the lyric like the chorus of folksongs. The contents of Baktaryeng can be categorized into rice, poverty, children, and wife by its contents. Each paragraph is cut in even number such as 4 Measure, 6 Measure, 8 Measure. The receiving is also 2 Measure and 4 Measure, and sometimes 3 measure is used.
    Secondly, Parkbongsul, Kangdogeun, and Parknokju show different organization in lyric according to sound sources. It shows that Baktaryeng has the characteristic which allows the singer to choose the lyric flexibly. When it is done, 'content+chorus+is considered as a unit.
    Thirdly, after comparing the Baktaryeng sung by the four singers, In the case of Oh, Jungsuk, there are a lot of traces of adaptations by Kim, Yeonsoo. In the case of Park, Nokju, the organization of lyric is changed. In contrast, Park, Bongsul and Kang, Do Geun show similar organization, allowing us to assume that their song is very alike to what was original Dongpyenje Heungboga Baktaryeng.
    Fourthly, the four singers use similar melody for the chorus of Baktaryeng. In the beginning part a+b; in the chorus used in the middle, the variations of b is mostly used; and in the end, b+c or b and c are used. The variations of b repeated in the middle is similar to the melody change of folksongs.
    Fifthly, the use of sigimsae, accessory sounds, and fill-ins to decorate the songs is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order of Kang, Dogeun; Oh, Jungsuk; Park, Nokju; and Park, Bongsul.
    Finally, Baktaryeng progresses mainly on gyemyenjo. However, in some parts, temporary jeonjo is used. Jeonjo on 5 notes higher is used by Park, Nokjo. Oh, Jungsuk used jeonjo on 5 notes below. However, Park, Bongsul and Kang, Dogeun do not use such jeon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