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세당 저술을 둘러싼 논쟁과 소통 (The Dispute and Communication surrounding Park Se-dang's Wri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1.11
31P 미리보기
박세당 저술을 둘러싼 논쟁과 소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4권 / 2호 / 163 ~ 193페이지
    · 저자명 : 박미향

    초록

    인간의 삶과 역사에서 논쟁은 보편화된 일상으로, 소통의 한 방식이다. 인간은 논쟁을 통해 나와다른 의견을 가진 이들에 대한 비판과 수용을 하며, 인식을 수정 또는 확정한다. 조선시대의 주요한정치적 문제인 ‘黨議’ 또한 이러한 논쟁의 측면에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17세기는 논쟁이 치열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17세기는 ‘논쟁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아닐 만큼 논쟁으로 점철된 시기이다. 청나라에 대한 입장의 문제로 빚어진 주화․척화논쟁을 비롯해, 禮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로 인한 예송논쟁과 같은 문제는 물론이고, 성리학 해석을 두고 벌어진 개개인 간의 논쟁까지 전사회적 현실문제가 모두 쟁점화 되었다.
    본 연구는 17세기 논쟁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斯文亂賊’으로 몰렸던 西溪 朴世堂(1629~1703)을 둘러싼 논쟁의 측면을 살핀 것이다. 박세당은 조선이 처한 현실적 문제를 풀기 위한 학문연구를 주장하였고, 그에 걸맞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思辨錄』을 저술했다. 이 과정에서박세당은 당대 성리학적 이해기반에서 부족한 부분을 노장학과 불교를 통해 선택적으로 수용했던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박세당의 사유방식은 주자 절대주의를 내세우며, 교조적인 성향을 지닌 송시열과 같은 사고를 지녔던 집단에게는 이해받을 수 없는 지점이었다. 때문에 박세당을 중심으로한 이들과 송시열을 따르는 자들 사이에 논쟁이 불 붙들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이 논쟁으로 인해 박세당은 남다른 사유를 가졌다는 것만으로 유배형을 받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과정은 조선 유자들의논쟁이 단순히 사상논쟁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黨議에 의한 정치적 이해관계까지 긴밀하게 얽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박세당을 둘러싼 논쟁의 과정 속에서 그를 옹호하는 집단과 비판하는 집단 간의 논리적 근거에서 당시 치자들의 사유 지점과 소통의 문제를 찾고자 했다. 두 집단은 논쟁의 근거를 ‘公論’에 두었다. 공론이란 사림세력의 이상적인 정치제로서, 왕조차 복종해야 하는 절대적 통치원리를말한다. 공론은 유가의 사상적 기원인 天命과 人心에 합당한 정치적 지향점으로, 유가에서 내세우는‘도덕적 성인군자’의 면모를 갖춘 인물이 공론의 담지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공론이 갖는 추상성때문에 이를 근거로 한 논쟁은 분명한 척도가 없이 개개인간의 이해기반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유가적 공론에 입각한 논쟁은 소통을 위한 지점으로나아가기 보다는 사적인 갈등만 조장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박세당을 둘러싼 논쟁 역시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human life and history, a dispute is universalized daily life as a way of communication. Humans criticize or accept others' opinions through debates, and change or confirm one's recognition. It is worth reviewing a party policy which was a major political issue in Chosun Dynasty from a viewpoint of such disputes. Especially, the 17th century should be examined as the period is known for hot disputes enough to be called “The age of disputes”. All kinds of practical matters were in debates all over the society that time: they included ranging from quite big issues such as Juhwa (For Chung)/Chukhwa (Against Chung) Dispute raised by different positions on Chung Dynasty, and Yesong (kind of national ceremony) Dispute caused by the different way of understanding on Ye(Ceremony), to individual debates on the interpretation of New-Confucianism.
    For a specific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utes in the 17th century, this study examined the dispute centering around Seogae Park Se-dang (1629~1703), who was driven to ‘Samunnanjeok(斯文亂賊)’. Park Se-dang suggested an academic research to solve practical problems Chosun Dynasty faced that time and wrote [Sabyeonrok] to present the directions. In the process, he seems to have accepted some part of Neo-confucianism selectively through Taoism and Buddhism.
    But, such Park Se-dang's thought was never been accepted by the group standing on the doctrines of Chu-tzu absolutism like Song Si-yeol's thought with doctrinaire disposition. Thus, this caused heated controversy between the groups centering around Park Se-dang and that around Song Si-yeol. At the end, Park Se-dang was forced to go into banishment by reason of his different thought. This means that the dispute in Chosun Dynasty was not limited to the thought itself,but extended to a political interest according to a party policy.
    Meanwhile, it is possible to infer the ruling classes' way of thought and communication at that time by reviewing the logical ground between the groups; for Park Se-dang or against him. Two groups put the ground of the dispute on Gongron (Public Opinion). As the Public Opinion was an ideal political system of Salim power group, it was an absolute governmental principle that even King should obey. The Public Opinion was the political ideal matching Chunmyung (Providence) and Inshim (Human mind) that were the origin of Confucian thought, and the bearer of the Public Opinion should be the person qualified enough to be called "The ethical saint“ presented in Confucianism. But, the abstraction in the definition of the Public Opinion allows different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an individual interest without any clear scale or criteria in the controversy. Thus,disputes based on the Confucian Public Opinion has the risk of leading people to private conflicts rather than to communication,which is represented through the case of the dispute related to Park Se--d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