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옥병(蒼玉屛)의 위치 비정(比定) 및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정원유적 연구 (Assumptions on the Location of Changokbyeong and Saahm Park Soon's Garden Remain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6.12
14P 미리보기
창옥병(蒼玉屛)의 위치 비정(比定) 및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정원유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4권 / 4호 / 37 ~ 50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최종희, 박주성

    초록

    창옥병의 지명 오류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지도, 옛시문, 옛그림 등의 문헌자료조사와 암각 및 조망특성에 대한 현장조사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창옥병의 위치를 비정하고, 이곳의 향유주체인 사암 박순과 그가 경영한 배견와 및 별업 이양정의 공간 구조와정원적 면모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옥병은 옥병서원과 일체감을 갖는 공간역으로 옛그림과 고지도 그리고 암각문의 존재로 볼 때 옥병서원 바로 앞의 석벽임을추정할 수 있다. 이 지역과 현재 창옥병으로 알려진 오가리석벽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약 460m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광의의 창옥병경관영향권으로 볼 수 있다. 시문에 등장하는 “창옥병급산금(蒼玉屛及散襟)”이란 표현에서도 산금대라 암각된 병풍바위가 바로 협의의창옥병임이 유추된다. 또한 오가리석벽에서는 단 1점의 암각도 확인되지 않는 반면 옥병서원 전면부 암벽 도처에는 사암 박순이명명하고 주문하여 새긴 11개소의 암각 중 8개의 경물명과 제영시가 필첩(筆帖)처럼 밀집되어 있음은 옥병서원 앞의 강벽(江壁)이의심할 여지없는 창옥병인 것으로 비정된다.
    ‘수월정신송균절조(水月精神松筠節調)’암각은 창옥병의 향유주체였던 사암의 고매한 인격과 덕행을 함축하는 창옥병의 상징언어이자 이곳의 장소 요체(要諦)로, 기존 알려진 것과는 달리 우암 송시열의 필적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한편 사암의 정원유적 창옥병은왼쪽으로부터 산금대-수경대-청학대-백학대의 4개 대로 구성되어 있다. 산금대 후면에는 본제인 배견와를, 백학대 좌측의 기암석벽위에는 별업 이양정을 조성하여 멀리 오가리석벽의 장관(壯觀)을 관망하는 조망구도를 갖도록 계획되었다. 사대(四臺)) 좌측 가장높은 곳에 입지한 이양정은 사암의 별업이자 독서처이자 장구지소(杖屨之所)이며 그 앞 너럭바위에 존재하는 와준(窪樽)은 사암의술풍류를 반영한 정원시설로 비정된다.

    영어초록

    Recognizing the problem of fallacy in geographical name of Changokbyeong(蒼玉屛), assumption has been made on the location of Changokbyeo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antique maps, ancient paintings, and old prose, through field survey on rock inscriptions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through interviews with local people. Furthermore, Baegyeonwa, the Cuckoo Hut, and Iyangjung(二養亭), an annex to the cottage, both of which were managed by Saahm Park Soon(思菴 朴淳), the Subject of Jouissance, were studied in depth with emphasis on the spatial structure as well as special features of the area as a garde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Changokbyeong is a spatial threshold that imparts a sense of unity with Okbyeng seowon(玉屛書院) and indeed Changokbyeong is presumed to have been the frontal river terrace of Okbyeng seow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ntique maps and rock inscriptions. This ancient location and the Ogari Stone Wall, the present day Changokbyeong, are only 460m away so that both areas are considered as falling under the influence of Changokbyeong landscape. The expression “Changokbyeong Geupsangeum(蒼玉屛及散襟)” written in an old prose tells us that the high rock wall with Sangeumdae inscribed on the rock might be the rock wall of Changokbyeong. In addition, while not a single rock inscription has been found on the Ogari Stone Wall, 11 rock inscriptions designed and ordered by Saahm Park Soon, the Subject of Jouissance, are found on every corner of the high rock wall standing in front of Okbyeng seowon, 8 of those 11 being place names and recitative poems(known as Jeyeongsi: 題詠詩) in close formation resembling the handwritings in a little notebook. This provides a strong evidence for assuming the location of Changokbyeong to be the frontal river terrace of Okbyeng seowon. The “Songgyun Jeoljo Suwol Jeongshin(松筠節調 水月精神)” rock inscription on Changokbyeong should be considered as the stamping ground and as the symbolic language of Changokbyeong that bears the high character and nobility of the Subject of Jouissance, Saahm Park Soon. The inscrip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as the handwritings of Wooahm Song Si-Yeol(尤庵 宋時烈) correcting the misconceptions that persisted until today. Meanwhile, the garden remains of Saahm’s Changokbyeong are composed of four sites: Sangeumdae-Sugyeongdae-Cheonghakdae-Baekhakdae from the left. At the back of Sangeumdae, there is the original house, the Baegyeonwa(拜鵑窩), and on the fantastically shaped stone wall at the left of Baekhakdae, there is the annex, the Iyangjung, together creating a landscape composition that overlooks the splendor of the Ogari Stone Wall. The Iyangjung is located on the highest spot to the left of the four sites, and it is believed to have been a little outhouse and library for Saahm which remains to the present day as a place where Saahm’s character can be felt. The drinking plates[窪樽] made of rock that are affectionately arranged on the broad flat rock in front of Iyangjung is part of the garden remains that reflects the artistic taste of Saahm regarding the drinking culture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