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죽서의 시 세계 연구 (A Study on the Poems of Park Jook-Se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11
30P 미리보기
박죽서의 시 세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0권 / 7호 / 671 ~ 700페이지
    · 저자명 : 정숙인

    초록

    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 사대부를 제외한 사람들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는 주어지지 않았다. 박죽서는 서녀로 태어났으나 차별받지 않은 가정 분위기에서 교육 받을 기회를 얻었고, 타고난 영특함으로 학문을 완성해 갔던 것 같다.
    서녀로 태어나 소실로 살았던 30여 년의 생애 동안 166편의 한시를 남겼다. 166편의 한시 작품은 남편의 친척인 서돈보에 의해 『죽서집』으로 묶여 간행되었고, 이 시집에 쓰인 서문과 한시를 통해 죽서가 당대 남성 문인에게도 인정받았음을 엿볼 수 있다. 박죽서 한시의 특징은 첫째 그리움이다. 남편의 부임지를 따라 옮겨 다닌 한양과 강서현 등에서 고향인 원주와 함께 자란 형제에 대한 그리움, 지척에 두고도 찾지 않는 남편에 대한 그리움,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소박하지만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여성적 필체로 간절하고 절실하게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으나, 애상적 정서에 매몰되지 않고 절제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두 번째는 사대부들의 시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유가적 기풍의 자기 성찰과 현재의 삶에 대한 자족적 생활태도를 죽서의 한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셋째는 한시 창작에 대한 열망이다. 상당수의 작품에서 죽서는 한시 창작에 대한 어려움과 더 나은 작품을 짓고자 하는 열망 그리고 이러한 시세계를 함께 이야기 나눌 知音에 대한 간절함으로 표현하고 있다. 죽서에게 있어 한시 창작은 實存의 확인과정이었던 듯하다. 이러한 노력이 있었기에 19세기 최초의 女性詩社인 삼호정시사에 참여할 수 있었을 것이다.
    죽서의 한시 창작은 신분에 좌절하지 않고 자신만의 시세계를 여성적 필체로 소박하고 진솔하게 표현한 점과 조선후기 문학담당층의 확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a rigid class system was in operation, education was only available to sadaebus. Park Jook-Seo, though born an illegitimate child, grasped an opportunity for education in an unusually egalitarian household, and thrived acaedmically by means of her own intelligence.
    Born illegitimate, living as a concubine for thirty years, Jook-Seo left 166 works of Sino-Korean poetry. The 166 pieces of poetry were collected and published as 『Jukseojip』 by her husband's relative Seo Don-Bo, and from the preface and the poetry in this book, it shows that Jook-Seo was acknowledged by her male peers.
    The most distinct theme of Park Jook-Seo’s Sino-Korean poetry is longing. As she moved to Hanyang and Kangseohyeon, following her husband’s posts, her longing for her hometown Wonju, her siblings, and friends is expressed in a simple yet honest manner. Even though her feminine style expresses longing in an earnest and desperate manner, it shows restraint, rather than being consumed by grief. The Confucian self-reflection and the self-sufficient modus vivendi, commonly found in the poetry of sadaebus, can also be found in the Jook-Seo’s poetry. The desire to create Sino-Korean poetry is also a prominent theme. In many poems, Jook-Seo expresses the difficulties she faces in writing poetry, along with the desire to create better works of art, and a deep longing for a friend to share her poetic vision with. It seems that to Jook-Seo, poetry was a confirmation of her own existence. This is what made her participation in the Samhojeong poetry circle possible, the first female poetry circle of the 19th century.
    Jook-seo’s poetry is meaningful in that she, through her feminine style of writing, brought fruition to her poetic vision in a simple yet earnest manner, despite her class, and in that she shows how the literary fig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diversify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