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르바 다르샤나 상그라하』 「아크샤파다 철학」의 진리지(tattvajñāna)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ight knowledge(tattvajñāna) in the “Akṣapādadarśana”, the 11th chapter of Sarvadarśanasaṃgrah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02
31P 미리보기
『사르바 다르샤나 상그라하』 「아크샤파다 철학」의 진리지(tattvajñāna)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58호 / 171 ~ 201페이지
    · 저자명 : 박기열

    초록

    고 니야야학파는 인식수단, 인식대상 등의 16구의에 대한 진리지(tattvajñāna)를 원인으로 최상의 행복(niḥśreyasa=해탈, apavarga)을 성취한다고 말한다. 즉 진리지의 성취는 잘못된 인식(mithyājñāna)의 제거 → 번뇌(탐욕 등)의 제거 → [신·구·의] 활동의 제거 → [출]생의 제거, 그리고 최종적으로 고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니야야학파의 해탈의 관건은 진리지의 성취이다. 이 진리지는 요가행자의 삼매의 수습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고 니야야철학의 해탈의 과정과 진리지의 역할 및 확립을 위한 수습은 마다바의 『사르바 다르샤나 상그라하』 「아크샤파다 철학」장(SDS Ⅺ)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SDS Ⅺ는 진리지를 성취하는 바른 인식의 근거로서 최고의 주재신(쉬바)를 내세우는 점이 고 니야야학파에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다. 최고의 주재신에 관한 다르마를 신뢰할 수 있는 스승의 증언이라는 인식수단에 의해서 먼저 확립하고, 그것을 근거로 삼아 삼매 수행을 해야 한다. 즉 SDS Ⅺ는 최고의 주재신을 인식의 근거로 하는 요가의 수승한 단계에 올랐을 때 비로소 진리지가 확립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최고의 주재신은 진리지의 대상이 아니라 그것을 획득하는 ‘인식수단의 근거 내지 권위(pramāṇya)’로서의 다르마(dharma)라는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논지를 SDS Ⅺ에 인용된 『니야야 수트라』, 『니야야 브하샤』 등의 원전들과 마다바의 해설을 고찰하여 고 니야야학파의 이론들과 차이를 보이는 마다바의 독자적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리지의 정의, 역할, 수습이라는 장으로 나누어 니야야학파의 해탈론에서 논의되는 진리지를 검토한다. 이 작업은 니야야학파가 인식·논리학에만 치우쳐있는 학파가 아니라, 해탈을 위한 바른 인식과 그것을 얻기 위한 요가(=삼매) 수습의 중요성도 역설한다는 것을 소개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나아가 SDS Ⅺ에서 보이는 우다야나의 진리지가 타 학파의 진리지 및 해탈론과 융합을 시도하는 일면을 보여줄 것이다.

    영어초록

    Naiyāyikas say that the highest good is achieved through the right knowledge (tattvajñāna) for the sixteen topics (padārtha), beginning the means of knowledge, the object of knowledge, etc. The acquisition of the right knowledge would be the direct cause to remove the wrong knowledge (mithyājñāna), and the mental disturbances (doṣa), the bad activities (pravṛtti) by body-language-mind, birth (janman) one after another would be removed. Finally, the right knowledge leads to reaching liberation (apavarga), being in the complete extinction of suffering. This order to get liberation is backward against the order to generate suffering.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attainment of the right knowledge is the key to have liberation that is the highest good.
    The classic Nyāya theory, however, does not concretize the acquisition method of the right knowledge, but in Sarvadarśanasaṃgraha (SDS) Ⅺ, there is a supplement on how to get the right knowledge. That is the role of the Supreme Being (parameśvara) as the direct cause to raise the right knowledge. It is defined as the authority (or proof) of the right means of knowledge (prāmāṇya) that tends not to be emphasized in the classic Nyāya school. Mādhava says in SDS Ⅺ that it is required to attain preveniently dharma on the Supreme Being as the authority of the right means of knowledge through śabda, one of the means of the right knowledge-s (pramāṇa-s) defined as teachings by a trustful teacher (āptopadeśa) according to Nyāya’s theory. Practicing the contemplation (samāhi) repeatedly and continuously, keeping the dharma of the Supreme Being at the same time, Yogi could, at last, come to the right knowledge. It does not mean the Supreme Being is the object of knowledge, but the means of knowledge in the yoga practice. The concept of the dharma is supposed to be influenced by the dharma in VS 1.1.2. The sūtra defines dharma as the means to reach at exaltation (abhyudaya) and the highest goods (niḥśreyasa).
    The paper considers the above summary of Nyāya’s liberation theory with the right knowledge as the central figu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quoted Nyāyabhāṣya and Udayana’s Nyāyakusumāñjali 4.5.-6. in SDS Ⅺ, splitting up the contents on the right knowledge into the definition of, the role of, and the attainment of the right knowledge chapter. The paper would have a chance to introduce Nyāya school’s liberation and the practice. There may have been overemphasized the aspect of the epistemological and logical theory of the Nyāya school as compared to the aspect of the liberation and truth of the Nyāya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paper would show the fragmentary aspect that Mādhava tries to consolidate the liberation theories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schools (āstika-s) into one theory in SDS Ⅺ based on the thought of Udayana, who had integrated both theories of Nyāya and Vaiśeṣika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