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사기』의 이른바 '초기기사' 수용방식의 문제 (On the Validities of So-called 'Early Accounts' of Samguksagi: the Cases of 'Annals of Paekch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09.04
37P 미리보기
『삼국사기』의 이른바 '초기기사' 수용방식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호 / 81 ~ 117페이지
    · 저자명 : 이강래

    초록

    『삼국사기』는 6세기 중반 이후에야 그들만의 정립상을 구현하게 된 삼국 본위의 역사물이다. 『삼국지』 등 중국사서의 동이전 기록 역시 당대 중국인들의 자기 역사 구성에 동원된 부수물에 불과하다. 삼국 이외의 실체들은 오직 삼국의 역사 전개 서상에서 종속변수로 취급되었던 것처럼, 동이의 단위체들은 중화적 세계 인식의 형식적 증좌로서 중국의 단대 왕조사에 주변적 편련을 남겼다. 『삼국사기』의 이른바 '초기기사'와 『삼국지』를 비롯한 중국사서의 삼국 관련 정보들이 우선 각각의 내부 논리와 정합성에 주의하여 점검되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점검의 강도는 동등하게 예리해야 옳다. 또한 개별 정보의 전거 추적과 형성의 맥락 파악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
    특히 『삼국사기』의 경우, 허다한 오류와 착종과 의혹들은 '은폐된 의도'에서가 아니라 맹목적 문헌주의의 결과 빚어진 '비판의 결여'에서 비롯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삼국사기』 정보에 대한 비판이 역설적 의미의 또 다른 문헌주의로 회귀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른바 '초기기사'는 정보 이전에 어느 단계의 설명이었다. 그 당대적 설명의 내재적 논리에 대한 적확한 이해가 선행된 위에서 새로운 비판은 정곡을 얻으리라고 믿는다. 물론 현존 정보의 저층에 겹겹이 놓인 설명의 층위 가 운데 어떤 의도가 잠복되어 있을 가능성을 전면 배제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검증이 난망한 의도조차 작위적 기년 설정보다는 특정 인물의 계보와 사건의 설명에 개업되었을 개연성이 더 크다.
    무엇보다도 역사적 설명과 사유에서 객관에 대한 맹신을 경계한다. 연구자들 이 자부하는 서로 다른 객관이야말로 누추한 주관의 은폐일지도 모른다. 차라리 비판 대상 정보를 서술한 주체의 주관 영역을 당대적 설명의 형태로 섬세하게 성찰하는 것이 대상에 대한 객관적 논의일 것이다. 서술자의 관념에 유의할 때는 적어도 서술자의 '인식된 과거'에 다가설 수 있는 통로 발견을 전망할 수 있다. 그 통로를 매개로 '사실로서의 과거'를 겨냥할 것인바, 역시 검증 가능성 자체에 대한 확신은 더 긴 폭으로 유보할 것을 제안한다. 사서의 정보는 선택적 논의의 유력한 근거에 지나지 않으며, 연구자들의 설명은 늘 새롭고 분방하되 그러므로 설명의 설득력 여하는 사서의 몫이 아니다.

    영어초록

    Samguksagi was a historiography on ancient Korean Three Kingdoms which, until mid 6th century, had not established their firm mutual standing. 'Dongyizhuan' or 'Account of the Eastern Barbarians' in English held in Sanguozhi and other Chinese historiographies, also, was a by-product which was brought forth in the process of contemporary Chinese construction of their histories. As other political entities than three kingdoms treated themselves as dependent variables to the evolution of histories of the Kingdoms, so Eastern Barbarians' political ones left their remains in the historiographies of Chinese dynasties as just an evidence to verify China-centered world view. This constitutes the reason that we need to pay full heed to the internal logics and the logical validities of so-called 'early accounts' in Samguksagi and the accounts on the Three Kingdoms in Sanguozhi and other Chinese historiographies. While checking their logics and validities, we should be as much sharp at each account as at other ones. Also, we should be always attentive to their references and contexts.
    Especially in the case of Samguksagi, numberless fallacies, confusions, and doubts we meet in the historiography came not from 'hidden purpose' but from its blind regard to, and scanty critiques of, historical materials. Given this, we should be careful lest our critiques of informations in Samguksagi offers to us should return back to materialism in its paradoxical use. So-called 'early accounts' were just an 'description' drafted before established 'explanation'. I believe that after full appreciation of internal logics of contemporary explanation does the new critiques hit the mark. Of course, we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intended purpose under the lurks explanatory layers in tiers. Nevertheless, even the purpose which defies our examination may be hidden in the accounts of personal lineage or of happenings not in the writings of certain chronological accounts.
    More than anything else, we should be careful to 'objectivity' while thinking of and explaining history. The objectivity scholars take proud of but in conflict may be the cover-up of their frail subjectivity. Rather, it will pave the objective paths to our academism that we take into careful account the subjective boundary of historiographers in their contemporary perspectives. When we have in mind their ideas and ideations, we can have an access to the past conceived by history writers. Through the access can we meet 'the past as a fact'. In the meantime, we should have rather lengthy reservation about the conviction of historical verifiability. The informations inherent in historiographies remain no more than grounds on which to stand for/against a historical explanation. Accordingly, historiographies do not carry the responsibility of verifying their accounts although scholars bear the burden of exploiting historiographies and their informations for a new and free expla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