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레니얼 세대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주거 공간 색채 선호도 조사 연구 (Research on the Color Preference on Residential Space by Self-Esteem of the Millennial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9.12
12P 미리보기
밀레니얼 세대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주거 공간 색채 선호도 조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0권 / 6호 / 115 ~ 126페이지
    · 저자명 : 김예원, 정현선

    초록

    색채는 빛이고 파장이며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람의 심리 현상을 일으키는 자극원으로 인체에 활력을불러일으키고 정서적인 안정에 도움을 준다. 현대 사회는 개개인의 행복과 높은 삶의 질과 같은 질적 성장을 중시하는 사회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되며 ‘개개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인간의 행복을 이끄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 중 자아 존중감은 환경 적응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심리 특성으로 여겨지며, 인간의 심리와 정신적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데, 무엇보다 정서와 행동, 인지과정이 한 개인에 밀접한 관계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구조와 경제위기로 인해 빠른 속도로증가하는 20-30대 밀레니얼 세대의 1인 가구의 행복한 주거 생활 영위를 위해 이들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색채 선호 및 주거 공간 색채 선호도 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감성 색채 전략 체계 및 이론적요인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응답자에서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 주거 공간에 대한 색채로 White와 중명도 중채도의 Y, G, B 등의 색상을 선호했고, 자아존중감이 보통인 응답자는 중명도 중채도의 Y, G, B의 1차색 이외에도 RP, PB, YR 등 2차색에 대한 선호가 동일하게 두드러졌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은 응답자 보다 공간의 각 요소별 무채색에 대한 선호가훨씬 높았다. 자아 존중감이 낮은 응답자는 일반적으로 주거 공간에 적용되는 색채에서 벗어난 원색 계열이 선택되어 자아존중감 정도에 따라 색채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주거 공간을 활용한 마케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정보의 활성화를 통해 색채 적용이 가능해지고, 자존감의 정도와 주거 공간 색채와의 연계성을 찾아 청년 1인가구의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도구로 감성 색채를 활용하고자 기대한다.

    영어초록

    Colors are light, a wavelength and also have energy. It is also a stimulant source that invokes a person's psychological phenomenon, invigorating the body and helping to maintain emotional stability. In modern society, a mega-trend is mainly focused on increased quality of life in terms of individual happiness and standard of living, and ‘individual happiness’ in particular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Among the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that lead to human happiness, self-esteem is considered a trait that can bring positive effect in the adapting to the environment. Additionally,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not only human psychology but mental health and furthermore, deeply involved in emotions, activities and the cognitive process. From i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elf-esteem of one-person-households among the Millennials, paying attention to the happiness in their residence under such a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uncertain economy. In addition, the paper conducts a study of color preference and residential space color preference to build an effective emotional color strategy and establish a theoretical ground, based on self-este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spondents of high self-esteem are attracted to the color white and colors of middle-brightness and middle-chroma Y, G, B for their residence, while those of average self-esteem show an inclination towards primary colors of middle-brightness and middle-chroma of Y, G, B as well as secondary colors of RP, PB and YR. Also, when compared to high self-esteem persons, they tend to highly prefer achromatic colors in their residential space. The respondents of low self-esteem show their preference for primary colors, which are not generally used when it comes to residence, which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self-esteem results in meaningful differences as to color preference. With theser esults, we hope additional research would be conducted to set up a marketing infrastructure for the Millennials and also produc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color applications and create efficient color val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