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0.12
46P 미리보기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56호 / 617 ~ 662페이지
    · 저자명 : 신승훈

    초록

    經學家가 현실을 호흡하고 사는 역사적 존재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經學은 시대라는 磁場 안에서 그 시대 사회문화를 반영하고, 註釋은 그 시대의 요청이 투영된다. 그것은 再解釋의 과정이다. 본고는 文質, 君子, 民의 용어해석을 중심으로 19세기 한․중․일 삼국의 『論語』 註釋을 고찰한다. 텍스트는 茶山 丁若鏞(1762~1836)의 『論語古今 註』와 淸末의 經學家 念樓 劉寶楠(1791~1855)의 『論語正義』와 일본의 明治時代의 碩學 息軒 安井衡(1799~1876)의 『論語集說』이다.
    丁若鏞은 文을 先王의 道가 담긴 禮樂이라고 하고, 質은 德行으로 바탕을 삼는 것이라고 하며 孝悌忠信의 실천덕목이라 했다. 劉寶楠은 質을 禮의 根本이며 文은 禮의 文飾이라 했다. 安井衡은 文을 朝廷의 制度와 朝會와 聘問의 의식절차 및 文書의 의미로 해석하고, 質은 德行이라고 하였다. 丁若鏞은 君子를 禮樂文物을 익히고 有德, 곧 孝悌忠信의 덕목을 갖춘 在位者라고 해석하였다. 劉寶楠은 君子를 시대의 변화에 맞는 中道를 실천하고, 그것을 백성에게 제시하는 지도자로 보았다. 安井衡은 순수하고 꾸밈없는 외관으로 立身行道와 輔世拯民의 본분을 잊지 않는 在位者를 군자라고 하였다. 丁若鏞은 民을 특정한 직업에 종사하는 庶人으로 보되 그들을 인격적 존재로 해석하였다. 劉寶楠은 예의를 맡아 진행할 수 없는 庶人이 民이라고 하였다. 安井衡은 民을 政治와 敎化의 대상일 뿐이라고 보았다.
    19세기 삼국의 『論語』해석이 서로 다른 것은 삼국이 각각 전혀 다른 모습으로 근대를 맞이했던 것만큼이나 다르다. 정약용의 해석에 근대적 市民觀이 보이고, 그것을 경학의 논거를 통해 끌어내었다는 면은 괄목할 점이다. 유보남의 해석은 송학을 바탕으로 하고 청대 고증학의 해박한 훈고를 방법론으로 채택하였으나, 시대의 변화에 감응하기에는 거리가 있었다. 안정형의 해석에서는 군국주의로 흐를 위험스런 對民觀이 어른거린다.

    영어초록

    It's the unchangeable fact that the scholar of Chinese classics is also the historical person living and breathing in the real world. Therefore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reflects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at times.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also reflects the request of that times. It is the course of reinterpretation.
    This thesis compares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centering around the term ‘Mun-Jil(文質;both inside and outside of man or things, morality and appearance of man, content and form of things)’, ‘Gun-Ja(君子;the gentleman who has the morality and virtue)’, and ‘Min(民;people)’. The text is like that. 『論語古今註』 by Da-San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1762~1836) in Cho-Sun(朝鮮) Dynasty, 『論語正義』 by Nyem-Lu Lyu, Bo-Nam(念樓 劉寶楠;1791~1855) who was the scholar of Chinese classics in the later period of Chung(淸) Dynasty, and 『論語集說』 by Shik-Heon An, Jeong-Hyung(息軒 安井衡;1799~1876) who was the big scholar in the Myung-Chi period(明治時代) of Japan.
    Three scholars'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論語』 w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fact means that each three countries went to meet the modern times in each different ways. In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論語』 by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 he showed his modern viewpoint of citizens. And his modern viewpoint of citizens was very great in the point of taking out it, by means of the grounds of Chinese classics. In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論語』 by Lyu, Bo-Nam(劉寶楠), he showed his profound exegetical tradition caused by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in Chung(淸) Dynasty. But there was a great disparity in 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In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論語』 by An, Jeong-Hyung(安井衡), he showed the dangerous viewpoint for public, and it had the possibility that was inclined to go forward the militar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