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구이주민들: 영락교회에서 보편적 공동체를 창출하기 위한 다양성의 수용 (Migrants Old and New: Accepting Diversity in Creating a Catholic Community 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3.08
25P 미리보기
신구이주민들: 영락교회에서 보편적 공동체를 창출하기 위한 다양성의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32호 / 247 ~ 271페이지
    · 저자명 : 하충엽

    초록

    이 논문은 서울 영락장로교회에서 보편 공동체를 건설하려는 월남 기독교인과 북한이탈 기독교인들의 시도를 연구한다. 두 공동체는 같은 북한지역에서 왔으나, 월남 기독교인들은 한국전쟁의 휴전 전까지 남한으로 월남을 했고, 북한이탈 기독교인들은 1998년부터 한국 입국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탈북 과정에서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도 있고 입국해서 그리스도인들이 된 사람들도 있다. 북한이탈 주민들이 1998년부터 한국교회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는 숫자가 증가하면서 한국교회 그리스도인들과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두 공동체들이 남한으로 이주한 시기의 차이는 반세기 이상이 된다.
    월남 기독교인들은 월남 전부터 지금까지 깊게 뿌리내린 반공이념에의해 사회화되어 왔다. 반대로, 최근 북한이탈 기독교인들은 북한을 떠나기 전에 주체사상에 의해서 사회화되어 왔다. 즉 서로 다른 정체성을 지닌두 공동체가 서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 단순히 동포라는 인식만가지고 교회 안에서 만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처음 만남과는 달리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너무 다른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서로를 존중하고 상호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교회 안에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이 쉽지 않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것은 통일 후에 경험하게 될 상황을 미리 경험한다는 데서 통일 전에깊은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고 하겠다.
    사실, 두 집단의 구성원들은 교회에서 서로를 만날 때까지 그들 사이의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했다. 그들은 같은 동포이기 때문에 함께 만나면 잃어버린 민족 정체성을 쉽게 회복하고 통일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환경에서 반세기 이상 살았던 두 공동체는 서로 사회화된 외형인식과 언어와 행동양식의 상징들에 대한 해석이 다름으로 인해서 심각한 오해와 실망과 긴장을 야기했다. 결과적으로 서로간에 배타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 어떻게 하면 두 공동체가 서로의 다른 정체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조화로운 공동체를 형성할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제기되었다. 본 논문은 제기된 연구 주제를 영락교회 안에서 두 공동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박사학위 논문 중에서 일부를 재편집하여 논문의핵심을 이해하도록 한 것이기에 논의의 많은 내용은 지면상 다루지 못했음을 밝힌다. 본 논문은 두 공동체가 각각 반공사상과 주체사상으로 사회화된 시작과 과정, 그리고 그것이 민족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와두 공동체가 서로 교회에서 만났을 때 어떤 배타현상이 나타났는가를 사회인류학적 접근을 통해서 밝힌다. 그리고 이어서 서로 다르게 형성된 민족정체성을 갖게 된 공동체들이 서로를 존중하는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가를 신학적 접근으로 다룬다. 결론적으로 두 공동체가 통일 공동체로 곧바로 가는 것이 아니라 중간 단계로 통이(統異) 공동체의 과정을 통해서 통일(統一) 공동체의 형성으로 가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attempts of the Christian Wolnammin and Christian North Korean refugees to construct a catholic community with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Seoul. Both groups come from the same region in the Northern territory, yet have different identities based on the fact that their exodus to South Korea took place during different periods of the last half century.
    Both before and since their arrival in South Korea around 60 years ago, Christian Wolnammin were socialized in the context of a deep-rooted anti-Communist ideology. In sharp contrast, recent Christian North Korean refugees were socialized by Juche (self-reliance) ideology (the official government ideology of North Korea) prior to leaving North Korea in the last decade. The contrasting ideologies cause tension and even hostility between the groups 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posing significant difficulties for creating a space for mutual fellowship and respect.
    Members of the two groups did not perceive the extent of differences between them until they met each other in the church. Prior to coming together, both communities desired unification, including the sharing of what they assumed was an ethnically homogeneous identity. The serious misinterpretation of symbols and behaviour patterns caused disappointment and tension. Consequently, examples of exclusion began to emerge 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with at least some Christian North Korean refugees wanting to return home.
    The present study is a response to their difficulties. It locates, describes and analysis the conflicts, reflects on the place of ideology in Christian practice evident 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and outlines a route towards a practical and prophetic resolution based on the theological concept of reconciliation and embr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