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방재디자인의 리좀 이론 도입 연구 -민방위 대피소를 중점으로-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hizome Theory in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for Focus on civil defense shelter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08
14P 미리보기
도시방재디자인의 리좀 이론 도입 연구 -민방위 대피소를 중점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5호 / 347 ~ 360페이지
    · 저자명 : 김가현, 이돈일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급속한 기후변화는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피해 규모가 증폭되는 재난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전반적 안전 분야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도시방재의 개념 또한 재난 피해의 2차 안전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으나 재난 취약계층에 대한 방안 및 개인의 재난 대응은 현시점의 복합재난에 따른 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방재디자인이 적용되는 공간에서 다양체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질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 이론을 통해 구체화하고, 본래 구조적 성질을 가지는 국가적 대비 및 대응을 탈 구조화하여 개인적 차원으로서의 재난 대비 및 대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가별 방재디자인과 국내 안전 수립 방향을 살펴보고, 리좀 이론을 기반으로 대피공간의 적용 가능 범위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이론적 고찰의 시사점과 선행연구의 비교분석을 통해 공간에서의 리좀 특성을 일곱 가지로 유형화하고 관련 세부요소 55개를 도출한다. 분석의 틀은 각 항목의 발현빈도로 측정하였으며 3단계 표현법에 따라 항목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검증은 대구·경북권의 민방위 대피소 중 본래 공간의 목적이 다른 시설 세 곳으로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며 발현빈도를 수치로 나타낸 뒤 비교하였다. 사례검증을 통해 사용자의 재난 대응 과정에서 마주하는 대피 공간의 리좀적 사유는 참여성, 접근성, 사용성을 촉발하고 또 유지 시킨다는 것을 검증한다. (결과) 사례검증 결과 공공시설 중 공용주차장, 역사 시설, 도서관 지하 시설에서 나타나는 리좀 특성이 모두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지하 공용주차장의 경우 연속성, 비 물질성, 다수성, 자율성이 비교적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지하 역사 시설의 경우 리좀 특성이 골고루 발현됨을 알 수 있었지만 비교적 개방성, 비 물질성, 자율성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도서관의 경우 다의성, 가변성, 자율성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대상지 모두 본래의 용도에 따라 사용성 및 접근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재난 발생 시 사용되는 민방위 대피소로서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각 대상지의 발현도가 낮은 리좀 특성부터 도입하여 공간을 보완하는 것이 리좀적 사유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건축물과 같은 인공적 대상이 아닌 생명력과 역동성을 가진 자연적 다양체의 안전성, 내구성, 회복성, 참여성을 목표로하는 리좀적 방재디자인은 대피소 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안전권을 보장하기 위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복합재난에 새로운 대안으로서 기대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Rapid climate change is emerging as a disaster in which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re combined, and the scale of damage is amplified.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overall safety sector is emerging worldwide, and the concept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is also expanding to the secondary safety range of disaster damag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measures for disaster-vulnerable groups and individual disast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disaster preparation and countermeasures at a personal level by destructuring the national preparation and response that originally had structural properties, by embody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bodies in spaces. (Method)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we investigated disaster prevention designs, the direction of domestic safety establishments, and the applicable range of evacuation spaces based on rhizome theory. Nex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ior studies, we categorized the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space into seven categories and derived 55 related detailed elements.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expression of each item, and the association of the items was confirmed using the three-step expression method. The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ree facilities with different purposes of space among civil defense shelter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comparing the frequency of expression numerically. Through case verification, we verified that the resolution of evacuation spaces encountered in a user's disaster-response process triggers and maintains participation, accessibility, and usability. (Results) Case verification revealed that the resolution characteristics in public parking lots, historical facilities, and underground library facilities were all different. First, in the case of underground public parking lots, continuity, non-materiality, majority, and autonomy were relatively low. Second, in the case of underground historical facilities, lysom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evenly expressed, but relatively less open, non-material, and autonomous. Third, libraries are less polysemic, variable, and autonomous. There may be differences in usability and accessibility depending on the original use of the target site; however, since it increases its usability as a civil defense shelt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can be introduced from low-expression lithography characteristics. (Conclusion) Rhizome disaster prevention design aims to ensure the safety, durability, resilience, and participation of natural diversity with vitality and dynamism, rather than artificial objects such as buildings, and acts as an element to guarante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of evacuees. Therefore, we expect this to be a new alternative for future complex disas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