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공주 유구지역의 피난민 정착촌 형성과 직조업 (Establishment of refugee settlement and weaving in Gongju Yugu area in the 1950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8.09
36P 미리보기
1950년대 공주 유구지역의 피난민 정착촌 형성과 직조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학림 / 42권 / 47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세림

    초록

    한국전쟁기 피난민의 유구지역 이주 동기 및 정착 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이 글의 첫 번째 목적이다. 또한 피난민 정착촌으로서 유구를 다시 보며, 이들의 정착과정에서 작동한 동향인 네트워크의 구체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공주 유구의 피난민 정착 사례는 한국전쟁기 피난민들이 정착지를 찾아간 경로와 자신들만의 터전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유구는 해방 이전까지만 해도 500여 가구가 생활하고 전기도 잘 들어오지 않는 벽지였다. 유구에 인구가 급증한 시기는 한국전쟁을 전후로, 정감록에 나온 십승지라는 이유 때문에 많은 피난민이 살 곳을 찾아 몰려왔다. 보다 직접적 이유는 1950년대 초반부터 유구에 직조업이 형성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직물의 절대수요가 증가하고, 직조기의 비중이 동력에서 인력으로 옮겨가면서 1950년대 영세직조업에는 호황기가 왔다. 당시 직물은 생산과 동시에 판매되었으므로 자본으로 빨리 전환되어 피난민들의 지역 정착을 도왔다. 유구에 정착한 황해도민들은 적극적으로 친인척을 유구로 불러와 직조업에 종사하게 하면서 가계를 일구어 갔다. 이들은 전국에서 친척들을 찾아와 집을 지어주거나 수직기를 만들어주는 등 적극적으로 정착조건을 마련해주었다. 그렇게 모인 피난민들은 또 다시 흩어진 가족들을 유구로 불러왔다. 피난민들은 유구에서 교회를 개척하거나 개간을 해 ‘신설동’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의 동향인 연결망은 친인척 및 혼인관계로 촘촘히 형성되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직조업이 있었다. 이들의 연결망을 중심으로 직조공장은 약 250개로 늘어나고 직물조합이 설립되는 등 유구는 피난민들에 의해 활기를 띄어갔다. 그러나 1950년대 정부의 원조배분정책에 수혜를 받은 대규모 면방직공장들이 성장하면서 전국적으로 인견직생산은 급격히 쇠퇴했다. 전력사정이 나빠 수직기로 직물을 생산해오던 유구의 직조업은 크게 타격을 입어 1960년대부터 쇠퇴일로를 걸었다. 그럼에도 피난민들은 짧은 기간 동안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유구 지역에 정착촌을 일구고자 하였으며 1950년대 피난민들이 직조업을 중심으로 유구에 정착해간 과정은 현재 유구에 중요한 지역정체성을 마련해주었다.

    영어초록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motives of refugees for migration to Yugu area and the settlement process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also aims to reconsider Yugu as a settlement for refugees and analyze concrete characteristics of networks among refugees from the same provinces during their settlement process.
    The refugee settlement case in Yugu, Gongju demonstrates the refugees’ process of finding a settlement and creating their own living foundation during the Korean War, in detail. Before the liberation, Yugu was a remote village where about 500 households lived and electricity was not supplied properly.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population in Yugu began to rapidly increase and a lot of refugees crowed into this area, since this was mentioned as Sipseungj in Jeonggamrok. A more direct reason was because that starting the early 1950s, the weaving industry began to be formed.
    The absolute demand for fabrics rose due to the Korean War and with the shift of the proportion of looms from power to human resources, in the 1950s, small weaving businesses faced prosperity. At that time, fabrics were sold as soon as they were produced and the swift conversion to capital helped refugees settle down in this region.
    Refugees from the Hwanghae Province were active in bringing their relatives over to Yugu and they made their livings, engaging in the weaving industry. They provided settlement conditions actively by building houses for their relatives, who we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or making hand looms for them.
    Refugees coming together this way brought their separated families over to Yugu once again. Refugees pioneered or opened Christianity in Yugu and created ‘Sinseol-dong’. In that process, the networks among refugees from the same provinces were tightly formed with relatives and in-laws. At its core, the weaving industry functioned.
    Yugu became activated by refugees while weaving factories increased to nearly 250 and a weaving association was founded, focusing on their networks. But in the 1950s, large-scale cotton textile factories obtaining benefits from the aid allo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grew and rayon fabric production rapidly decayed throughout the country.
    Fabric production of the weaving industry in Yugu relied on hand looms because of the poor power condition. For this reason, the industry suffered greatly and from the 1960s, it began to decline. Nevertheless, refugees strived to cultivate a settlement in Yugu area, seizing the opportunity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refugees’ process of settling down in Yugu in the 1950s, based on the weaving industry provided a significant regional identity to Yugu of the presen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