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사소송에서 위법수집증거의 취급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in Civil Litig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07
38P 미리보기
민사소송에서 위법수집증거의 취급에 관한 이론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연세법학 / 42호 / 247 ~ 284페이지
    · 저자명 : 정영수

    초록

    민사소송에서 당사자는 변론주의에 따라 주장과 증거의 제출에 관한 권한을 가진다. 법관은 당사자가 신청한 증거의 채부를 재량으로 결정하고 자유심증주의에 따라 그 증거의 자격이나 가치를 평가한다. 민사소송에서는 원칙적으로 증거능력에 제한이 없다. 이에 비해 형사소송에서는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이 제한된다. 민사소송법에는 형사소송법과 같은 위법수집증거의 배제 규정이 없다. 따라서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라고 하더라도 증거로 채택될 수 있으며, 판례도 자유심증주의 원칙 하에서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을 긍정하고 있다.
    한편 학계에서는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하여 부정설, 긍정설, 절충설 등으로 그 견해가 나뉘고 있다. 그런데 민사소송에서 위법수집증거의 취급에 관한 논의는 그러한 증거의 배제 여부라는 결론에 앞서 그러한 증거를 심리에서 배제할 근거는 무엇이며 배제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에 관한 검토가 충분히 선행되어야 설득력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위법수집증거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배제의 이유와 기준에 대한 이론적 검토도 필요하다고 본다. 사회의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는 새로운 증거방법들을 출현시켰고 이에 따라 증거수집의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위법수집증거의 취급에 관한 논의는 앞으로도 계속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위법수집증거를 배제해야 하는 근거는 1차적으로 민사소송법 제1조 제2항에 규정된 당사자간의 신의성실의 원칙에서 찾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민사소송의 목적인 권리보호와 분쟁해결의 실현을 근거로 추가할 수 있다. 시민의 자유를 침해하여 수집된 증거를 법원이 허용한다면 잠재적 소송당사자의 불법행위를 조장하고 사법절차의 무결성에 해를 끼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지도 모른다. 나아가 그 배제되는 증거의 범위를 정할 때에는 적법한 증거수집제도와의 균형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사생활이나 비밀 등은 보호 이익이 강하기 때문에 당사자의 동의없이 이를 위법하게 침해한 경우에는 그 태양이나 증거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서 증거능력이 부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 밖의 경우에는 증거의 수집에서 제출에 이르기까지의 당사자간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증거능력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보호되어야 할 사생활이나 비밀의 범위를 정하는 때에는 이와 대립하는 이익과 비교형량은 불가피해 보인다. 그런데 이 비교형량은 위법행위의 태양, 사건의 중요성, 증거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폭넓게 하는 기존의 이론과 달리 보호법익의 범위를 정하는데 필요 최소한의 범위에서 행해져야 할 것이다.
    증거가 위법하게 작성 또는 수집되는 양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적법한 증거수집제도의 확충이 불가피하다. 미국의 증거개시제도를 비롯한 당사자간 자주적인 증거수집수단의 확충을 논의해온 이유를 여기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사생활의 비밀의 부당한 공개로부터의 보호 장치도 필요하다. 사생활의 비밀은 위법한 수집과정에서의 침해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소송과정에서의 침해되는 경우까지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civil litigation, the parties have the authority to submit claims and evidence in accordance with the adversarial system. The judge decides at his discretion the admission of the evidence requested by the parties and evaluates the competence of the evid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In principle, there is no limit to the ability of evidence in civil litigation. On the other hand, in criminal proceedings, Any evidence obtained in violation of the due process shall not be admissible. The Civil Procedure Act does not have the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such as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fore, even illegally obtained evidence can be adopted and judicial precedents affirm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btained illegally under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Meanwhile, in academia, opinions are divided into negative, positive, and compromise theories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btained illegally.
    However, prior to the conclusion that the discussion on the handling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in civil litigation is whether such evidence is excluded, I think it will be persuasive only when a review of the basis for excluding such evidence is sufficiently prec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heoretically review the reasons and standards for exclusion while looking at specific cases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The digitalization and networking of society have emerged new evidence methods, and as the methods of collecting evidence are becoming more diverse, discussions on the handling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need to continue to be paid attention in the future.
    The basis for excluding illegally obtained evidence can be found primarily i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between the parties stipulated in Article 1 (2) of the Civil Procedure Act. In addition, it can be added on the basis of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dispute resolution, which is the purpose of civil litigation.
    If the court allows evidence obtained in violation of civil liberties, it may encourage illegal activities of potential litigants and harm the integrity of judicial procedures. Furthermore, when determining the scope of evidence to be excluded, the balance with the legitimate evidence collection system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modern society, privacy or secrets must be protected, so if they are illegally infringed without the consent of the parties, the ability to testify should be denied without considering the nature or the importance of evidence.
    However, in other case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should be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between the parties from the collection of evidence to the submission.
    When determining the scope of privacy or secrets to be protected, the interests and comparative sentences that conflict with them seem inevitable. However, this comparative sentence should be done to the minimum extent necessary to determine the scope of protective legal interests, unlike existing theories that are wide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aspect of misconduct, the importance of cases, and the importance of evidence. In order to avoid the illegal collection of evidence, it is inevitable to expand the legitimate evidence collection system.
    The reason why the parties have been discussing the expansion of independent means of collecting evidence, including the U.S. discovery system, can be found here. Of course, protective devices from unjust disclosure of privacy are also needed. This is because privacy should include not only cases of infringement in the illegal collection process but also cases of infringement in the litigation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