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지연의 「自强主義」와 『新民說』 : 차용으로 이루어진 자강 (Jang Jiyeon’s “Jagangjuui” and Xinminshuo : Self-Strengthen by Unauthorized Borrow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06
24P 미리보기
장지연의 「自强主義」와 『新民說』 : 차용으로 이루어진 자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65권 / 257 ~ 280페이지
    · 저자명 : 임상석

    초록

    이 글은 한국 계몽운동을 대변하는 논설 가운데 하나인 장지연의 「자강주의」가 양계초의 『신민설』을 차용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분석했다. 양자의 대조를 통해 전자의 70% 가량이 후자의 차용이었음을 확인했는데, 그럼에도 장지연은 전자에 “저자 장지연”이라 명기했다. 대한제국기의 대표적 계몽운동 단체인 대한자강회의 공식 기관지인 『대한자강회월보』의 전체적 취지를 천명한 글이 「자강주의」였고, 이것이 차용으로 구성된 것은 일종의 탈선이라 할 수 있다. 국가사상, 진취와 모험 등의 근대적 가치를 한자권 전통의 文言 글쓰기를 활용해 주장했다는 점에서 「자강주의」는 식민지 한자권의 범위에 속하는 성과물이기도 하다. 양계초와 공유한 보편의 문언이 국적과 민족이라는 새로운 절대적 가치에 위배 될 수 있다는 점을 장지연은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사대와 조공의 조선에서 古文家로서 성장한 장지연이 국적을 전제로 한 자강의 국한문체 언론인이란 새로운 자기정체성을 온전하게 내면화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자강주의」로 재구성된 『신민설』의 대안은 자강의 함의와 영향력을 강화하는 단기적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빌려온 “자강주의”라면 장기적으로 자강의 목표는 멀어질 수밖에 없다. 식민지 한자권에서 진행된 대한제국기 계몽운동에서 제일의 당면과제는 제국주의였으나 중화의 그늘도 여전한 질곡이었음을 빌려온「자강주의」가 증명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at Jang Jiyeon’s “Jagangjuui”, the one of representative leading articles in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is composed of reconstituting and borrowing of Liang Qicao’s Xinminshuo. Through mutual comparison, it is proved that almost 70% of the former’s sentences are borrowed from the latter but Jang specifies himself as the author of the former. The former is publicized in Daehanjaganghoe Monthly, the bulletin of the most prestigious enlightenment movement society, Daehanjaganghoe to announce its own official purposes and principles. Considering its foremost purpose, self-strengthen and independent, the former’s composing process, unauthorized borrowing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deviation.
    Also, adopting traditional rhetorics of Literary Sinitic to propagate modern ideas such as nationalism, progressivism and adventurous spirit, the former can be belong to products of Colonial Sinographic Sphere. It is clear that Jang did not recognize the risk of Literary Sinitic, the solid attribute shared by Liang, could be harmful to essential task of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nationality and an ethnic community. Since the greater part of Jang’s self-identity had matured in Joseon, the nation of toadyism and tributary system, he met difficulties in self transition, from universal Literary Sinitic writer, a traditional intellectual in Sinographic sphere, to a national journalist in Korean enlightenment media. For the moment, the Jang's “Jagangjuui” as the borrowing reconstitution of Liang’s Xinminshuo could contribute to enhance effects and contents of Korean self-strengthening but borrowed “Doctrine of Self-strengthen” would damage self-strengthening and independent in the end. The first priority of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in Colonial Sinograph Sphere is confrontation to imperialism, yet borrowing "Jagangjuui" demonstrates remaining shadows of Sinocentr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