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간회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사회의 民 의식 성장 (Growth of civil rights consciousness of the colonial Korea society through 'Shinganhoi')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7.12
49P 미리보기
신간회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사회의 民 의식 성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39호 / 69 ~ 117페이지
    · 저자명 : 정혜경

    초록

    이 논문은 식민지 조선 민중들의 민권 의식과 근대적 주체의 성장이라는 점에서 신간회를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3.1운동을 계기로 조선 민중들은 ‘민주, 민족, 평화’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면서 ‘백성’이 아닌 ‘주권자로서 민’을 찾아 나섰다. 3.1독립선언서에 나타나는 민족적 평등사상은 범세계적 평화실현의 논리로서 필수적인 인식이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 민족에게는 주권이 허용되지 않았으므로 근대적 주체의 완결성은 기하기 어려웠다. 공백은 1920년대 이후 삶의 양식인 문화를 바꿈으로써 새로운 사회를 만들고 ‘새로운 조선인’을 만들고자 했던 문화운동 방식이 채웠다. 문화운동가들은 청년ㆍ여성ㆍ소년ㆍ농민ㆍ노동자ㆍ학생 운동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실천운동에 나섰고, ‘새로운 인간상 만들기’를 위해 교육 부문에 집중했다.
    근대적 주체로서 민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인텔리와 단체, 언론의 역할은 적지 않았고, 신간회도 포함되어 있었다. 신간회의 강령과 지향점은 민권의식 고양을 포함하고 있었다. 신간회가 추구하는 민족단일당운동은 민중을 토대로 하고 있었으므로 민 의식의 고양은 필수과제였다. 특히 신간회 창립의 주역들이 지닌 신념과 인본주의적 종교 교리는 신간회라는 조직과 언론을 통해 민 의식 고양과 확산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근대 사회에서 민권 의식은 바로 자유ㆍ평등ㆍ참정권이 필수 요건이다. 그러므로 식민지 조선사회에서 민 의식의 고양은 당연히 ‘주권’ 확보와 민족의식의 고양을 촉진했고, 일제의 탄압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식민통치권력 입장에서 민족의식의 고양은 억압해야 할 과제였으므로 민 의식은 규율에 의해 통제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변질시키고, 조선민족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비하시키는 정책을 펼쳤다. 신간회 운동은 조선 대중의 불신과 일제의 탄압을 동시에 해결해야 했던 험난한 길이었다. 그럼에도 신간회 지회의 자율성과 독자성은 구체적 활동 지침을 수립하지 못하던 중앙 조직 운영 방향에 민 의식을 전파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1931년 5월 신간회 해소를 계기로 식민지 조선사회에서 합법운동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새로운 조선인 만들기’와 민 의식 발현의 출구는 대중 개인의 몫으로 남았다. 1931년 9월, 일본의 만주침략 후 조선인들에게 남은 역할은 침략전쟁에 필요한 ‘국민’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hinganhoi' in terms of the civil rights consciousness of the colonized Korean people and the growth of the modern subject. 3.1 With the movement, the people of Korean came to the concept of 'democracy, nation, peace' and went out to find 'the people as sovereigns' rather than 'people'. 3.1 The national equality ideology that appears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s an essential recognition as the logic of global peace realization.
    However, since the sovereignty was not allowed for the Korean colonial people, the completeness of the modern subject was difficult to predict. The gap was filled with a cultural movement style that had been trying to create a new society and create a 'new Korean' by changing the culture of life since the 1920s. Cultural activists have taken ac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youth, women, boys, farmers, workers, students, and have focused on the education sector in order to create a new human image.
    In the course of growing as a modern subject, the roles of intelligence, organizations, and the media were not limited, and 'Shinganhoi' was included. The program and orientation of 'Shinganhoi' included the enhancement of civil rights consciousness. The national single-party movement pursued by the 'Shinganhoi' was based on the people. In particular, the beliefs of the founders of 'Shinganhoi' and the doctrines of humanistic religious doctrine have had a certain impact on the promotion and spread of the people 's consciousness through the 'Shinganhoi' and the media.
    In modern society, civil rights consciousness is a prerequisite for liberty, equal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rights. Therefore, the uplifting of the consciousness in the colonial Korean society naturally promoted the securing of 'sovereignty' and the enhancement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faced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Since the uprising of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power of colonial rule was a task to be suppressed,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changed into the object to be controlled by the discipline, and the policy which imitated the pride of the Korean culture was carried out. The 'Shinganhoi' Movement was a difficult road that had to solve both the distrust of the Korean masses and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Nevertheless, the autonomy and uniqueness of the 'Shinganhoi' branch played a role in spreading the consciousness to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organization operation which did not establish concrete action guidelines.
    In May 1931, with the rescue of the 'Shinganhoi', the legal movement in the colonial Korean society could not find its place, and the exit of the 'making new Korean people' and the expression of the people's consciousness remained as a part of the public. In September 1931,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Manchuria, the remaining role for the Koreans was the 'people' necessary for the invasion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