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항장 釜山에서 閔建鎬가 경험한 음력과 양력 (Min Geonho’s Experience of the Lunar and Solar Calendar Systems at the Open Port of Busa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12
38P 미리보기
개항장 釜山에서 閔建鎬가 경험한 음력과 양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46호 / 119 ~ 156페이지
    · 저자명 : 김동철

    초록

    조선은 1896년 1월 1일부터 양력을 사용하였다.그러나 조선 정부는 양력 실시 후에도 음력과 양력을 병용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양력 실시는민건호가 쓴 일기의 형식에 영향을 미쳤다.날짜를 음력으로만 쓰다가 음력-양력으로 바꾸었다.그러나 그가 시간을 기억하고 측정하는 것은 음력이었다.그는 음력 1896년 1월 1일,양력으로 바뀐 사실을 조상에게 告하였다.음력 1896년 1년간은 날짜를 양력-음력 순서로 썼다.그러나 1897년부터 다시 음력-양력 순서로 바꾸었다.
    일본은 1873년부터 양력을 실시하였다.개항장 부산에는 오랜 양력의전통 속에서 살아온 서양인과 갓 양력을 실시한 일본인이 거주하고 있었다.양력이 공식적으로 실시되기 전부터 부산은 음력과 양력의 시간이 혼용되던 시공간이었다.조선에서 1주일에 1번씩 일요일이 있는 요일제는1895년에 실시되었다.부산에서 감리서 서기로 근무한 민건호는 7일마다하루씩 휴일이었다.그는 이 휴일을 일요일이라 칭하지는 않았다.이러한주기 휴일 외에 별도의 공휴일이 있었다.
    그가 경험한 대표적인 양력 시간은 예수 생일[크리스마스],양력 신정, 일본 국왕 생일이다.예수 생일은 지구적인 휴일로 인식하고 있었다.서양인과 일본인은 부산에서 음력 시간을 새로 경험하였다.대표적인 음력 시간은 음력 신정,조선 국왕 생일,청국 국왕 생일이다.음력 신정 때 부산세관장인 영국인 Lovatt는 한문으로 연하장을 보내기도 하였다.
    개항장 부산은 음력과 양력의 시간이 교류하는 시공간이면서,서로 다른 새로운 문화가 교류하는 접촉지대였다.음력과 양력의 시간은 각각 전통적인 경축일을 형성했지만,그 경축일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간의 질서가 형성되고 있었다.새로운 시간의 질서 속에서 한일관계는 물론이고 국제적인 교류의 장이 형성되어 갔다.이 시공간 속에서 새로운 이국문화의체험,교류,공유의 관계짓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개항장 부산은 混動的시공간이었다

    영어초록

    Korea started to use the solar calendar from January 1, 1896.
    However, after introducing the solar calendar, the Joseon government implemented the policy of jointly using the lunar calendar. The implementation of the solar calendar influenced the format of Min Geonho’s journals. He used to write only the lunar dates, but changed to indicating dates by both systems, the lunar date and then the solar date.
    However, the system by which he remembered and measured time was the lunar calendar. He informed his ancestors on January 1, 1896,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that the date has changed to the solar calendar system.
    And for the lunar year in 1896, he indicated the date according to both systems as the “solar calendar date-lunar calendar date.” However, starting from 1897, he changed the order of writing the date and used the “lunar calendar date-solar calendar date.” Japan implemented the solar calendar system in 1873. In the open port of Busan, residents included the Westerners who had long lived in the tradition of the solar calendar system and the Japanese who had just started to use the solar calendar. Busan was a special time space in which both the lunar calendar and the solar calendar were jointly used even before the national official implementation of the solar calendar system. The seven-day week, which includes a Sunday once a week, was implemented in Korea from 1895. Min Geonho,who worked as a clerk at a Gamriseo office, took one day off every seven days. However, he did not refer to this day as “Sunday.” In addition to this periodic holiday, there were other legal holidays.
    The most representative solar calendar events that Min Geonho experienced were Christmas, New Year’s Day, and the birthday of the Japanese emperor. Christmas was recognized as a worldwide holiday. For the Westerners and the Japanese living in Busan, time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was a new experience. The representative lunar calendar events observed were the New Year’s Day, the birthday of the King of Joseon, and the birthday of the Emperor of China. On New Year’s Day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Mr. Lovatt, an Englishman who was the Customs Director of Busan, even sent out a New Year’s ca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 open port of Busan was a time space where time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system and the solar calendar system interacted. It was also a contact zone where cultural exchangeoccurred between mutually different and new cultures. Time according to each calendar system formed the respective traditional holidays. Yet, a new order of time was being formed around these holidays. Under this new order of time, a platform for international exchange as well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formed. In this time space, many people were actively engaged in building relationships from experiencing, exchanging, and sharing cultures of other countries. The open port of Busan was a time space of confu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