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민사소송법의 근대화와 전개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ivil Procedure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12
42P 미리보기
한국 민사소송법의 근대화와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5권 / 4호 / 3 ~ 44페이지
    · 저자명 : 이무상

    초록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한민족의 역사는 씨족사회와 부족사회를 거쳐 고대국가인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 정립기를 지나 통일신라, 발해, 고려, 조선으로 연면히 이어진다. 민족의 역사와 함께 법의 역사, 민사소송법의 역사도 연면히 이어져 현재에 이른 것이다.
    조선 전후기를 통하여 사회·경제적인 변동과 함께 민의 사유의식 강화 등으로 소송이 증가하면서 이를 규율하기 위한 절차법이 중요시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사찬(私撰) 민사소송법서들을 통하여 민사소송규범들이 정리되고 근대적인 민사소송의식이 형성되었다. 그러한 민사소송법 의식의 발전은 「속대전」형전에 「청리조(聽理條)」와 「문기조(文記條)」에 소송에 관련된 절차법 규정이 다수 마련됨으로써 입법화되었다.
    그러나, 전통적 통치구조와 육전(六典)체제인 법령체계에 변화가 없어 법의 내용과 체계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기간 지속되다가 일순간, 갑오·을미 개혁기에 법형식이 근대적인 것으로 전도되어 나타났다. 정긍식, 앞의 책, p. 59.
    이러한 급격한 법형식의 근대화가 미처 뿌리를 내리지는 못하고 있던 중, 일제의 침략으로 합병이 되면서 일제를 통하여 독일 민사소송법을 비자발적으로 계수하게 되었다.
    해방과 미군정기를 거치며 분단된 상황에서 남한에 단독정부가 수립되고 최초로 한국 민사소송법을 제정할 당시는 민사소송법의 학문적 수준이나 실무경험의 수준에 한계가 있어 결과적으로 일본의 민사소송법에 터잡은 의용민사소송법을 개정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 후 한국사회가 발전하며 그에 부응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의 민사소송법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차츰 일본 민사소송법의 영향에서 벗어나 고도화되고 세계화된 사회에서 우리의 독자적인 민사소송법을 발전시켜왔다. 정보통신기술의민사소송법을 발전시켜왔다.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세계화라는 한국의 사회발전 추세에 발맞추어 민사소송법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통신기술의 발전은 민사소송법에도 영향을 끼쳐 최근 전자소송 및 인터넷 화상연결을 통한 재판에 관한 규정들이 민사소송법에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국제화된 사회에서 그러한 화상재판은 국제 민사소송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화상재판제도, 송달 및 증거조사에서의 국제공조 등에서는 일본을 앞서는 선진 입법을 하였다. 외세에 의한 분단으로 통일된 민족국가를 이루지 못한 현 상황이지만, 우리는 나름대로 우리 자신의 역량으로 일본 제국주의에 의하여 강제로 이식된 일본 민사소송법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인 우리의 제도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 있다. 민족사적 측면에서 아직 분단 상황이라는 현실을 직시하고, 전통과 뿌리가 같으나 낡은 시대의 이념에 의하여 이질화되어 있는 북한의 민사소송법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연구하여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외국법의 무비판적인 도입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법에 대한 이해 및 우리의 현재 법의식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우리에게 잘 어울리는 민사소송제도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법은 시대의 산물이며 하부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해 나간다는 점은 실체법뿐만 아니라 절차법인 민사소송법에서도 마찬가지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goes through clan and tribal societies, through the three ancient state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and continues through unified Silla, Balhae, Goryeo, and Joseon.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nation, the history of law and the history of civil procedure law have continued to reach the present.
    During the Joseon period, as the number of lawsuits increased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nd the strengthening of people's private consciousness, the procedural law to regulate them became more important. In the process, the rules of civil litigation were organized through the texts of civil procedure laws edited by an individual and a modern civil litigation consciousness was formed. The development of the consciousness of such civil procedure law was enacted by the provision of a number of procedural law related to litigation in the 「Chungnijo (聽理條)」 and 「Mungijo (文記條)」 in the 「Sokdaejeon」 sentence.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legal system, which is the traditional governance structure and civil procedure system, so the content and system of the law did not match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is rapid modernization of the legal form had not yet taken root, the German Civil Procedure Law was involuntarily counted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as a result of the aggression of Japan.
    The first enactment of the Korean Civil Procedure Act(KCPA) in the situation of a single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re was a limit to the level of academic and practical experience of the Civil Procedure Act, and as a result,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Japanese Civil Procedure Act(JCPA). It was only at the level of amending the JCPA. Ater that, as Korean society developed, the KCPA was revised several times to respond to it. In lin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trend of social development in Korea such as globalization, the Civil Procedure Act of Korea is being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lso affected the Civil Procedure Act. Recently, regulations regarding electronic litigation and trial through internet video connection were newly introduced into the KCPA, and such video trial in an internationalized society became possible in international civil litigation Article of the KCPA. It has advanced legislation ahead of Japan in video trial system,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ervice and evidence investigation.
    Although we have not achieved a unified nation-state due to the division by foreign powers, we are in the process of creating our own independent system by breaking away from the JCPA, which was forcibly transplanted by Japanese imperialism with our own capabilities. In terms of national history, it is necessary to face the reality that it is still divided, and to prepare for the era of unification by studying the North Korean civil procedure law, which has the same tradition and roots but is heterogeneous by the ideology of the outdated era. It is important to create a civil litigation system that suits us well through an empirical study of our current legal consciousness and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laws, rather than the uncritical introduction of foreign laws. The fact that law is a product of the times and changes along with transition in the underlying social structure is the same not only in substantive law but also in procedural law, such as a civil procedure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