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屯村 閔維重의 祭文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n Funeral Oration by Dunchon Min Yuj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4
34P 미리보기
屯村 閔維重의 祭文에 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6권 / 197 ~ 230페이지
    · 저자명 : 이승용

    초록

    이 글은 屯村 閔維重(1630~1687)의 祭文에 관한 연구이다. 閔維重은 당대에 정치가이자 관료로 명성이 있었지만, 文學에도 조예가 있었으며 관직 생활을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詩文을 창작하였다. 文貞公遺稿에 수록된 詩文을 살펴보면 挽詩와 祭文의 비중이 높은데, 그중에서도 祭文은 閔維重이 應製로 지은 祭文이 별도로 編次되어 있으며, 人物에 대한 祭文 이외에 자연물 및 神靈을 대상으로 창작한 祭文도 여타 문인에 비해 많은 편이다. 文貞公遺稿에 수록된 閔維重의 祭文을 고찰한 결과, 閔維重의 祭文은 크게 山川과 神靈을 대상으로 창작한 祭神文과 인물을 대상으로 한 祭亡人文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으며, 그의 祭文에서 드러나는 특징적인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閔維重은 祭神文과 祭亡人文의 창작에 있어 祭文의 정격이라 할 수 있는 4언의 운문체뿐만 아니라, 변격이라 할 수 있는 산문체 祭文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祭神文은 모두 4언의 운문체로 창작하였으며, 祭亡人文은 4언의 운문체와 산문체를 함께 활용하였는데, 가족이나 가까운 관계에 있었던 인물을 대상으로 지은 祭文은 산문체를 활용하는 빈도가 높았다. 이는 祭亡人文이 祭神文보다 儀式文의 측면보다는 哀悼文의 성격이 강하고, 특히 평소 자신과 가까웠던 인물의 경우에는 哀悼의 층위가 여타의 인물들과는 차이가 있었던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山川과 神靈을 대상으로 지은 祭神文의 경우 가뭄에 비를 내리기를 기원하고 厲鬼를 몰아내 전염병이 그치기를 바라는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篇章의 구성에 있어 1인칭 화자에 대한 자책, 神靈에 대한 호소, 神靈에 대한 질타가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은 여타 文人의 祭神文과는 변별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祭文’이라는 관습적인 문학 양식의 틀 속에서도 篇章의 변화와 다양한 표현 기법을 활용하여 남다른 글쓰기를 추구했던 閔維重의 창작 경향을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물을 대상으로 지은 祭亡人文에서는 상투적인 칭송과 과장된 표현이 아니라 자신의 기억과 亡者의 행적을 통해 亡者의 생전 모습을 再構하는 구성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는 亡者와 교감할 수 있는 사소한 일상을 소재로 구체적인 삶을 구성하고, 구체적인 서술보다는 보여주기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亡者의 행적과 진실된 모습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閔維重의 창작 의도가 반영된 결과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uneral oration by Dunchon Min Yujung (1630~1687). Min was renowned as the politician and official of the times and he also had profound knowledge of literature and wrote literary works steadily during his service. Many of the literary works included in Munjunggongyugo (文貞公遺稿) are the poems and orations for the deceased. Among them, funeral orations Min wrote under the royal demands are compiled separately. In addition, Min wrote funeral orations about the natural objects and divine spirits other than figures more than other writers.
    In examination of the funeral orations included in Munjunggongyugo, the funeral orations by Min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orations for nature and divine spirits (祭神文) and orations for the figures(祭亡人文).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found in his orations are as follows.
    First, Min actively utilized the formal poetical style with 4 characters and variant prose style in writing the orations for nature and divine spirits and orations for the figures. All of the orations for nature and divine spirits were written in the poetical style with 4 characters while the orations for the figures utilized both poetical style with 4 characters and prose style. The orations for the family or close relationship mainly used the prose style writing. This is because the orations for the figures were more like writing for condolences than the rite compared to the orations for nature and divine spirits. Especially, it is assumed that the prose style was used to express deeper condolences for the people who were close to Min.
    In case of the orations about the nature and divine spirits, the orations generally wish for the rain in drought and end of infectious disease by expelling the ghost. Still, the orations by Min are differentiated from the orations by other writers as they involve self-reproach of the first-person narrator, appeal to divine spirits, and blame to divine spirits complexly. Such aspects show that Min tried to differentiate his writing by changing the formats and utilizing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under the conventional literature style of the funeral oration.
    Lastly, in the orations about the figures, Min reorganized the life of the deceased based on his own memories and the tracks of the deceased instead of using plain compliments and exaggerated expressions. This shows Min’s intentions in securing the objectivity in the life tracks and true nature of the deceased by reorganizing the life in details with ordinary matters relatable to the deceased and showing the life of the deceased instead of describing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