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원민가(校園民歌)에 나타난 대만 거주민 정체성 고찰 (The Identity of Taiwanese Residents Reflected in ‘Campus Folk Song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4.02
30P 미리보기
교원민가(校園民歌)에 나타난 대만 거주민 정체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107권 / 85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민우

    초록

    이 글은 1970~1980년대 대만에서 ‘우리의 노래를 부르자’를 외치며 탄생한 ‘교원민가’에서 ‘우리’가 지칭이 대상이 무엇인가에 주목한다. 교원민가의 형성 배경과 탄생 그리고 변화의 맥락을 살펴본 후, 최종적으로는 교원민가 주요 작품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노래에 담긴 ‘우리’ 즉 대만 거주민의 정체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만에 살고 있는 사람 대다수가 공감할 만한 ‘우리'의 음악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생각은 교원민가를 출현하게 만든 원동력이었다. 교원민가를 불렀던 가수들에게 있어 우리의 음악은 이전에 유행했던 대어 대중음악도, 상하이시대곡 스타일의 음악도, 정치선전곡도 아니었다. 미국의 포크송은 더더욱 우리의 음악이 아니었다. 어쿠스틱 악기에 기반을 둔 포크송 스타일의 음악을 추구하며 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창작⋅보급되었던 교원민가는 ① 현대민가운동 시기(1975.06.~1976.11.), ② 단장사건 시기(1976.12.~1977.11.), ③ 「금운상」 개최 시기(1977.12.~1985.), 세 단계로 구분하여 발전했다.
    교원민가에서 대만 거주민의 정체성은 중국인 정체성과 대만인 정체성으로 이원화되어 표출되었다. 교원민가의 탄생을 알린 양셴 등은 중국에 정체성을 의탁한 노래를 다수 창작했다. 지리적 개념과 동포 의식으로 중국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킨 「향수사운」과 당당한 중국인으로 거듭날 것을 촉구한 「서출양관」이 대표적인 노래다. 리젠푸는 「용의 후예」에서 ‘우리=중국인'을 확인함과 동시에 중국인의 단결을 촉구했다. 양셴과 다른 음악 스타일을 추구하고자 한 리솽쩌 등은 노래를 통해 대만 거주민의 정체성이 지금 살고 있는 이 땅 즉 대만섬에 있음을 표출하고자 했다. 「소년 중국」에서는 새로운 모습을 한 ‘소년 중국’으로 거듭날 것을 촉구했고, 「홍마오성」에서는 300년간 지속되었던 대만의 슬픈 역사를 정리하자며 대만 거주민의 단결을 외쳤다. 「메이리다오」에서는 민족의 뿌리가 바로 여기 대만섬에 있다며 대만서사를 제시했다. 판안방은 「외할머니의 펑후만」에서 어린 시절 외할머니와 펑후만 해변에서 보냈던 추억과 가족애를 묘사했다.
    교원민가가 쇠퇴한 이후, 대만의 대중음악계에서는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1980~90년대 대만 대중음악은 산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노래 속에 대만 거주민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의 흔적이 점차 보이지 않게 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대만 출신 가수들이 중화권 전역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가면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더 이상 중요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중화권에서 가장 큰 시장이라 할 수 있는 중국에서 ‘나는 대만인이다'를 천명하는 것은 활동 중단을 선언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대만 대중음악계에서 정체성에 대한 물음은 그 의미가 많이 퇴색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정체성 문제와 마주할 수밖에 없는 현재, 1970년대 대학생 가수들의 사회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책임감의 발로로 진행된 대만 거주민의 정체성 논의는 되새겨봄직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dentity represented by the term “us” in the “campus folk songs” that emerged in Taiwan in the 1970s and 1980s under the slogan of “Let's sing our songs.” After examining the background, birth, and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campus folk songs, the ultimate goal is to reflect on the identity of Taiwanese residents encapsulated in the songs through textual analysis of key work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emergence of campus folk songs was the belief that there was a lack of music that resonated with the majority of Taiwanese residents. For the singers of campus folk songs, “our music” was not the popular mainstream music of the past, nor was it in the style of Shanghai-era songs, or even political propaganda songs. It certainly wasn't American folk songs either. Embracing a folk-song style based on acoustic instruments and centered around university campuses, campus folk songs were developed in three stages: the era of the modern folk song movement (1975.06.~1976.11.), the period of the “Danjiang Incident” (1976.12.~1977.11.), and the era of the “Golden Melody Awards” (1977.12.~1985).
    The identity of Taiwanese residents in campus folk songs was dichotomized into Chinese identity and Taiwanese identity. Yang Xian and others who announced the birth of campus folk songs created numerous songs that entrusted their identity to China. Songs like “Nostalgic Sound” and “Embassy Outskirts” evoked nostalgia for China through geographical concepts and ethnic consciousness, urging people to become proud of being Chinese citizens. In “Descendants of Dragons,” Lin Zhengfu affirmed “us” as Chinese while urging unity among Chinese people. On the other hand, Li Songzhuo and others who pursued a different musical style expressed the identity of Taiwanese residents, emphasizing that their identity lies in Taiwan, the land they currently inhabit. In “Young China,” they advocated for a new identity as “Young China,” while in “Hongmaoseng,” they called for unity among Taiwanese residents by summarizing Taiwan's sad history of the past 300 years. In “Mai Lida,” they presented the Taiwanese narrative, stating that the roots of the nation lie right here on the island of Taiwan. Pan Anbang depicted memories and family affection from childhood spent with his grandmother at Fenghu Beach in “Grandma's Fenghu.” After the decline of campus folk songs, discussions about identity are scarcely visible in Taiwan's mainstream music industry. In the 1980s and 1990s, as industrialization rapidly progressed in Taiwan, traces of contemplation on the identity of Taiwanese residents in songs gradually disappeared. Since the 2000s, as Taiwanese singers expanded their activities across the Chinese-speaking world, concerns about identity became less important. Asserting “I am Taiwanese” in China, the largest market in the Chinese-speaking world, is almost equivalent to declaring an end to one's career. While the consciousness of identity issues in the mainstream music industry has faded, it is worth reflecting on the discussions about the identity of Taiwanese residents initiated by university student singers in the 1970s, which began with a sense of awareness and responsibility towards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