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팬데믹 시대의 죽음: 미국의 1918년 인플루엔자 대응과 장례 (Death in the Time of Pandemic: The 1918 Influenza Pandemic and Funeral Rites in the United Stat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4
36P 미리보기
팬데믹 시대의 죽음: 미국의 1918년 인플루엔자 대응과 장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의료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의료사회사연구 / 9권 / 125 ~ 160페이지
    · 저자명 : 신지혜

    초록

    이 글은 코로나19 동안 여러 지역에서 나타난 죽음의 모습을 출발점으로 삼아 역사에서 팬데믹 시대의 죽음이 수습되고 처리된 과정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과거의 팬데믹 중 하나인 1918년 인플루엔자 시기 미국에 초점을 맞춘다. 1918년 가을 인플루엔자 사망자가 급증하자 미국의 지역사회는 시신 수습에 어려움을 겪었다. 관이 부족한데다 무덤을 팔 노동력도 충분치 않아 몇날 며칠 시신을 집안에 두어야 하는 경우도 있었고, 감염을 우려하여 장례를 서두르는 바람에 공동묘지에 한꺼번에 매장하고 나중에 이장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팬데믹 시대의 장례에는 비용의 문제와 방식의 차이도 극명하게 드러났는데, 당시 죽음을 수습하는 과정에서는 무엇보다 장의사의 역할이 중요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매장을 선호한데다 장례의식의 일부가 된 방부처리의 전통이 감염병의 예방과 연계되면서 방부처리를 해야만 안전하게 죽음을 처리할 수 있다는 생각이 굳어졌다. 팬데믹이 많은 이들을 단기간에 사망으로 이끌었기 때문에 같은 시기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이나 비난은 적었으나, 인플루엔자 사망자의 시신이 내포한 공포와 죽음의 충격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1918년 인플루엔자 당시 죽음의 모습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애도의 부재, 강요된 장례 방식 등으로 인해 팬데믹으로 야기된 죽음과 거리를 두게 되었지만, 과거를 돌아보는 데서 현재를 이해할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eginning with the images of deaths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Covid-19 outbreak,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death was discussed and managed in the time of pandemic. Here, I focus on the 1918 Influenza pandemic in the United States. As the number of influenza deaths increased in the fall of 1918, American communities found themselves unable to cope with dead bodies. Coffins and caskets ran out, gravediggers were in great shortage. Many Americans had to spend several days with their dead relatives, unable to bury them; in some places, the dead were picked up en masse and sent to potter’s fields so that they would not contaminate the living. Funerals also cost money, and families were faced with limited choices about how to bury and honor their dead. Americans preferred burial to cremation and eagerly embraced embalming as a means to curb contagion. Through the pandemic, undertakers, who now called themselves funeral directors, solidified their position as professionals. With so many people dying in such a short period,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blame specific groups of people for spreading the disease; nevertheless, the fear of the unnamed dead, both foreign and contagious, lingered. The images of deaths during the 1918 Influenza pandemic offer insights for those of us who have been living through yet another pandemic. We have tended to take distance from pandemic-induced deaths, afraid of the new, unexpected circumstances, but understanding various forms of death from the past may teach us how to cope with our present mala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