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기반한 이청준 연작소설의 치유적 읽기 (A Therapeutic Reading of Lee Cheong-Jun’s Serial Novels on The Basis of Paul Ricoeur's Mimesis Theor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7.12
20P 미리보기
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기반한 이청준 연작소설의 치유적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 / 12권 / 6호 / 91 ~ 110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순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이청준 연작소설을 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기반한 읽기를 통하여 문학치료학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문학치유 과정의 지향점은 ‘자기 삶의 텍스트를 쓰는 것(Life as Text)'이다. 자신이 체험한 삶의 이야기(심층적 서사)와 텍스트가 자연스럽게 만나 또 다른 창의적 삶의 텍스트가 탄생되는 것이다. 자신의 존재 이유인 글쓰기에 대해 끝없이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있는 이청준 소설은 건강한 삶의 지향을 위한 문학치료학 본래의 뜻에 맞닿아 있다. 또 자신의 내면을 끊임없이 들여다보는 삶을 계속하여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문학치료학연구에 적합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문학으로 치료하려는 일은 무엇보다도 언어가 가진 힘과 위력을 인지하고 수용하는 일이 전제되어야한다. 즉 문학치료는 언어라는 매체를 통해 치유에 이르는 작업이다.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만들어 낸 ’형상화된 언어(Gestaltete Sprache)'를 통해 치료는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청준은 타락한 시대에 타락한 언어로 과연 진정한 소통이 가능한가를 스스로에게 묻고 있으며, 그 대안적 언어로 ‘소리’를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terary healing availability of Lee Cheong-Jun novels through a therapeutic reading on the basis of Paul Ricoeur's Mimesis Theory. The literary healing process aims to write the writer's life as text. The writer's experienced life story (deepest narrative) and text meet each other naturally, creating yet another creative text of life. Lee Cheong-Jun novels, which continue to throw questions about the reason of his being, writing, agre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literary healing for a healthy life. And continue to present the life which continually look into one's life, making it an appropriate text for literary healing research. Literary healing, above all, should assume that the linguistic power and strength are recognized and accepted. Literary healing is the healing work through the medium of language. This is because people, engaging in healing, begin to be healed by their own formed language (Gestaltete Sprache). Lee Cheong-Jun throws a question of "in this corrupt age, true communication can be possible through corrupt language," and presents our 'sori' as an alternative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