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溪와 陽明의 修養論 비교를 통한 朝鮮朝 陽明學의 未擴散 원인 고찰 (A study on the reason why Self-discipline theory by Yi Toegye and Wang Yang-ming and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were not subject of research and sprea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退溪와 陽明의 修養論 비교를 통한 朝鮮朝 陽明學의 未擴散 원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68호 / 35 ~ 64페이지
    · 저자명 : 강보승

    초록

    본고에서는 知와 行의 문제에 대한 退溪와 陽明의 관점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明善과 誠身의 측면에서 退溪가 제시하는 知와 行의 문제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퇴계의 양명학 비판 초점이 善을 밝히는[明善] 단계를 간과한 점에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退溪의 수양론이 가진 실천성이 16세기 조선에서 陽明學이 확산되지 못한 원인 중 하나임을 유추하였다. 즉, 陽明學은 良知를 강조하여 明善의 단계를 생략하고 格物窮理의 객관지식 탐구를 소홀히 하는 점에서 退溪의 배척을 받는다. 하지만 퇴계가 강조하는 주체의 도덕 본성이 양명이 제시하는 良知에 비견될 수 있고, 居敬으로 수양론을 일관하는 것이 致良知로 수양을 일관함과 유사하다는 점, 그리고 退溪가 日用平常에서의 실천을 강조했듯이 陽明도 事上磨鍊의 일상적이고 즉각적 실천을 강조한 점 등에서 유사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退溪 당대의 조선 학계는 知의 측면에서는 陽明學을 부정하였고, 行의 측면에서는 退溪學과 陽明學에 유사성이 있었으므로, 결과적으로 陽明學 수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던 것이다.
    退溪와 양명의 수양론은 각자의 수양과 삶의 경험을 토대로 수립된 것이다. 퇴계와 양명의 삶과 경험을 통해서 볼 때 陽明이 논리적으로는 知와 行이 나뉨을 인정하면서도 현실의 실천과 수양에 있어서 知와 行이 나누어져서는 안 된다고 한 것과, 退溪가 居敬으로 動時와 靜時가 일관된 수양을 추구하면서도 앎과 실천을 明善과 誠身으로 분리하여 인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필연적 귀결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d perspective of Yi Toegy and Wang Yang-ming on the problems of knowledge and practice. It came out that Yi Toegye’s contention and criticism overlooked the stage of research of good through comparison. And it was inferred that practicability in Yi Toegye’s self-discipline theory was one of causes why Wang Yang-ming failed to spread out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In other words, since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puts emphasis on inherent knowledge and skips the stage of research of good and neglects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which means quest for objective knowledge, it was criticized by Yi Toegye. However,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m: ethical nature of human being in which Yi Toegye emphasized is similar to inherent knowledge suggested by Wang Yang-ming. And Yi Toegye emphasized the practice in everyday life, Wang Yang-ming stressed prompt practice in work and behavior in everyday life as well too. Therefore, scholars during Joseon period opposed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n terms of knowledge whilst it was similar with philosophy of Yi Toegye in the respect of practice. There was no need to conduct research on philosophy of Wang Yang-ming for them.
    Self-discipline theory by Yi Toegye and Wang Yang-ming is established on the respective discipline and life experiences. With respect to life and experience of Yi Toegye and Wang Yang-ming, it can be understood that Wang Yang-ming acknowledge that knowledge and practice are separated logically. And it’s understandable why Yi Toegye made his study separating the knowledge and practice though he practiced discipline consistently regardless of when nothing happens or something happe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