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미적 노동(Aesthetic Labor) 분석 - 근거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Beauty Service Employee’s Aesthetic Labor -An Approach Based on Grounded Theory-)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5.03
13P 미리보기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미적 노동(Aesthetic Labor) 분석 - 근거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1권 / 1호 / 33 ~ 45페이지
    · 저자명 : 김별님, 박두현, 양은진

    초록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시각에서 그들이 종사하는 기업 내에서 미적노동의 과정을 심층면접을 통해 알아보고, 그들의 경험과 변화의 과정을 통해서 미적노동을 이해한 후 미용서비스의 다각적 접근을 조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미용서비스 종사자들은 미적노동과 관련해 어떤 경험을 해왔는가? 둘째, 미용서비스 종사자들은 미적노동을 통해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로 설정하였고, Strauss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에 의해 선정된 프랜차이즈와 토털 뷰티살롱에 근무하는 3년 이상 경력의 뷰티서비스 종사자 9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4년 7월 셋째 주에서 9월 넷째 주에 걸쳐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67개의 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6개의 상위범주로 통합되었다. 축코딩에서는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채용과 고용과정에서의 미적요구로, 중심현상은 미적노동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기업의 이미지에 따른 외적규율과 교육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중재조건은 외모관리 필요성의 인지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적극적 외모관리 행동으로 결과는 미적 노동에 대한 내⋅외적 변화로 도출되었다. 선택코딩에 나타난 핵심범주는 ‘상호적으로 체화되어가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몸과 마음’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업의채용과 고용 그리고 인적관리의 구축에 대한 기여와미적노동에 대한 미용서비스 종사자와 기업의 참여적인 방향과 후속연구를 위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과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xperienceof “Aesthetic Labor” in the specific work environmentfrom the beauty service employees perspective, andthrough that process of their experience and change weunderstand and highlight their aesthetic labor and tocontribute presenting various approaches to beautyservice stud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what experience have the beauty service employeesdone related to the aesthetic labor? Second, whatchanges have the beauty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through the aesthetic labor? It was analyzed byapplying Grounded Theory Approach introduced byStrauss and Corbin(1998). Participants of the studywere collected by purposive sampling in 9 beautyservice employees who have relevant workingexperience in franchise or total beauty salon for 3 yearsor more. Data were collected from third week of July2014 to fourth week of September 2014 through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in open coding, theconcepts are all 67 in number, the concepts wereclassified to 15 sub-categories, and integrated to 6upper-categories. As a result of category analysis forparadigm, in axial coding, causal condition was realizedas ‘demand of aesthetic skills in recruitment andselection’, contextual condition was realized as‘aesthetic training and standard according to thecorporate image’, intervening condition that influencedthe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was ‘recognition of thenecessity toward the apparence management’, action/interaction was ‘active apparence management attitude’,and the result was induced to ‘internal and externalchange of mind and body about aesthetic labor. Corecategory in selective coding is ‘reciprocal acquisition ofthe beauty service employees’ body and mind.’In conclusion and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of this study, we contribute to the recruitment andselection of the company and to the establishment ofhuman resource management. Also, we present the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the follow up studies and the direction for the beautyservice employees and corporations to participate on theaesthetic lab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