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작법무의 동작 구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 불모산영산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Jakbeopmu, Buddhist Ritual Danc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0.06
23P 미리보기
작법무의 동작 구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 불모산영산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무용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3권 / 63호 / 283 ~ 305페이지
    · 저자명 : 하진숙

    초록

    살아있는 문화는 유동적 성질을 지니게 마련이다. 유동한다는 것은 변화를 적극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불교의식이 오늘날 한국 전통문화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도 이러한 문화적 특질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교가 토속적이고 민속적인 기존의 제 풍습들을 흡수하게 되면서 불교의식 또한 새롭게 변화해 갔다.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의 불교의식은 민족문화 유산의 몸체이자 전통과 창조의 구심점이 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각 지역의 불교의식은 종교적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그 지역의 풍습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그 동안 불교의식에 관한 연구 상황을 살펴보면 대체로 중요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한 음악학적 연구와 사상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불교의식 전반의 실제적이면서도 포괄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불교의식을 둘러싼 총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불교의식은 음악적 형식을 지닌 범패와 춤적 형식을 지닌 의식무를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식무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 이에 불교의식무에 대한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주로 중요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지역의 불교의식무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불교의식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불교의식무에 대한 연구를 간과할 수 없듯이 불교의식무에 대한 종합적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지역의 불교의식무에 대한 연구를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불교의식은 각 지역에 따라 역사성과 예술성을 달리하는 의식의 형태가 존재하고 있고, 불교의식무 또한 제각기 다른 지역적 특색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영남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불교의식무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영남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불교의식 중 불모산영산재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어 있다. 불모산영산재 의식무는 구성 및 표현법에 있어서 경기지역이나 전라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불모산영산재 의식무는 영남지역 특유의 춤적 미감이 그대로 드러나면서도 불교적 색채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성뿐만 아니라 지역성과 예술성까지도 잘 대변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교의식무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위한 기초로써 우선 불모산영산재 의식무의 동작 구성 및 미의식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종 문헌자료를 통해 불교의식무에 대한 역사적,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후, 불모산영산재 보유자로부터 직접 배우고 익힌 동작을 하나하나 서술해 나가면서 그 특징과 미의식을 논의할 것이다. 따라서 보유자와의 인터뷰, 보존회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록물 등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수년간에 걸친 연구자의 체험을 토대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1차 연구가 미약한 실정에서 논의되는 내용이기에 연구의 깊이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작법무 하나하나를 따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작법무의 전체적인 동작 구성과 미의식에 관해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보다 구체적이고 섬세한 연구를 위한 문제제기의 차원에서 논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영어초록

    There are few studies on Jakbeopmu, Buddhist ritual dance. This makes me start this research. I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Jakbeopmu, which has been performed at Buddhist templ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The types of Yeongsanjae,Buddhist ritual, performed in Mt. Bulmo could be divided into Yeonwhamu(lotus flower dance),Baramu(Buddhist cymbal dance), and Beopgomu (monk's drum dance). Each of them would be composed variably, according to each ceremonial process.
    Yeonwhamu imitates the movements of a crane. It leads people to return to Buddha, Buddhist beliefs, and Buddhist monks. Yeonwhamu is made up of several movements -- folding & unfolding the arms with a flower, generally repeated three times, and facing each other. The dance reveals that the movements of the upper body are harmonized gracefully with those of the lower body. It shows the sublime beauty by leading to the calm world of Buddhism with Beompae, Buddhist chant.
    Baramu is performed with cymbals on hand. This suggests a united oneness of the world. The dance shows several movements, such as passing cymbals behind the head, folding & unfolding the arms, and turning around. When a dancer passes the cymbals behind the head, the cymbals moves round and round. When a dancer turns around, he/she tosses them up. The dance shows the aesthetic sensitivity and the sublime harmony, toward the united oneness of the world in the sublime and harmony.
    Beopgomu aims to lead all the people suffering from this world to Buddhist world. The dance show movements folding & unfolding the arms, beating a drum, and arching the back. The movements of Beopgomu are more active and bigger than other dances. All the movements of Beopgomu are seriously performed without any worries. This gives us delight and emancipated feeling without all the constraints.
    Jakbeopmu, Yeongsanjae performed in Mt. Bulmo shows the beauty of the sublime and the grace. It shows unique dance movements and rhythms, which folk dance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has. Therefore, this study leaves an area which can be further develop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es between Jakbeopmu and folk dances.
    Key words : Mt. Bulmo, Yeongsanjae, Jakbeopmu, Yeonwhamu, Baramu, Beopgomu, the sublime, the united oneness, emancipated feeling, del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