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의 숭고에 관하여 -미판단과 숭고판단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Vom Kantischen Erhabenen -Durch die Beziehung des Erhabenen auf das Schön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9.06
30P 미리보기
칸트의 숭고에 관하여 -미판단과 숭고판단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시대와 철학 / 20권 / 2호 / 155 ~ 184페이지
    · 저자명 : 박지용

    초록

    칸트의 숭고는 도덕적인 감정과 유사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최소한 『판단력 비판』 속에서는 미학적인 감정으로서 그 지위가 선험적인 해명을 통해서 제시된다. 숭고는 선험적인 감정으로서 미의 감정과 함께 주관의 미학적인 체험의 고유성과 보편성을 밝혀준다. 숭고는 경험적인 대상 체험을 통해서 분석되지도 않을뿐더러, 주관적인 인식능력만으로도 분석될 수 없다. 미와 마찬가지로 숭고 또한 자연에 대한 미학적인 반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숭고는 미에 비해 부차적이라는 관점이 지배적이다. 이 글은 숭고가 미와 연속적이라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칸트미학의 편향된 이해를 지적하고, 나아가 숭고논의에서의 미학적인 고유성과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반목적적인 자연이 칸트의 숭고논의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주목되어야 하며, 나아가 반목적적인 자연이 상상력의 총괄과 역진을 통해 이념과 조우될 수 있음이 고찰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주관의 이념적 능력이 숭고판단의 근거이지만, 감성적인 표상과 결부될 경우에만 숭고는 선험적인 의미에서 미학적 고유성을 획득한다는 점이 드러난다.

    영어초록

    In dieser Abhandlung versuchte der Verfasser, die beiden ästehtischen Urteile über das Schöne und das Erhabene in Einstimmungsverhältniss zu bringen. Im Grunde genommen ist ästhetisches Urteil im Sinne der Transzendentalphilosophie eine Reflexion der reflektierenden Urteilskraft, und dafür ist sein Prinzip die Zweckmäßigkeit der Natur. Das Ästhetische besinnt schon bei Kant als Gefühl der Lust oder Unlust ein niemals auf Begriff und Erkenntniss deduzierbares subjektives Gemütsvermögen. Das Gefühl vom Schönen und vom Erhabenen hat einen gleichen Grund hinsichtlich der ästhetischen Reflexion sukzessiv betrachtet zu werden. Trotzdem herrscht bis heute überwältig eine Interpretationstendenz, die innere Beziehung und Gleichheit des Schönen mit dem Erhabenen zu verleugnen. Hier liegt also der Ausgangspunkt in einem Satz: paralell müssen die beiden Urteile betrachtet werden. Dafür versuchte der Verfasser die Tätigkeit der Einbildungskraft bzw. reflektierenden Urteilskraft beim Erhabeben in Betrachtung zu ziehen und der Verfasser betonte, dass trotz des Kontrastes und Widerstandes das harmonische Spiel der Gemütsvermögen auch durch die Tätigkeit der Einbildungskraft am Erhabenen aktualisiert wird. Ähnlich wie am Schönen hat das Urteil am Erhabenen zweifache Bezugnahme, nämlich einmal auf zweckwidrigen Vorstellung des rohen Naturgegenstandes, und zugleich auf Erhebung der Gemütskräfte. Die Bestrebung und Scheiterung der Einbildungskraft an einem Versuch, das Größte zu gelangen, bedeutet gerade die ästhetisch dargestellte Grenze am Übersinnlichen. Diese negative Lust macht immer noch das Ästhetische beim Erhabenen a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