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등록 이주아동의 교육권― 미국 Plyler v. Doe 판결을 중심으로 ―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s Right to Education – Implications of Plyler v. Doe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8.04
30P 미리보기
미등록 이주아동의 교육권― 미국 Plyler v. Doe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29권 / 1호 / 67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혜

    초록

    미등록 이주아동은 한국 사회에 분명히 존재하고 있지만 법ㆍ정책적으로 무관심과 배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교육의 기회에서도 다른 아동과 동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비해 1982년 미국 연방대법원은 Plyler v. Doe 판결에서 미등록 이주아동이 다른 아동과 동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하며, 당시 텍사스 주의 배제적인 교육법 조항을 폐기하였다. 이 판결에서 연방대법원은 미등록 외국인이 해당 주의 영토 내에서 법의 적용을 받으므로 법의 평등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하며, 이민 지위를 이유로 평등권을 부정함으로써 하위 계층을 양산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평등보호조항의 정신에 반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교육이 아동의 인생에 영구적인 영향을 미치며 민주사회의 근간이 되는 매우 중요한 제도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미등록 이주아동을 차별하는 이유로 미등록 이민자의 유입과 경제적 부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지만, 미등록 외국인의 실제 경제적 기여와 미등록 이주아동에 대한 교육의 박탈로 인해 초래될 사회적 부담에 비추어 볼 때, 차별의 타당한 근거가 되지 못했다.
    Plyler 판결에서 판단의 근거로 삼은 평등의 원칙과 교육의 의미에 대한 논의는 한국의 헌법 해석에 유용한 함의를 준다. 교육은 개인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치고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게 하며, 시민으로서의 덕성과 자질을 갖추고 민주적 정치 참여의 소양을 갖게 하는 제도이자 권리로서, 개인의 자아실현뿐만 아니라 공동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조건이다. Plyler 판결에서 논하듯이 이러한 인간의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권리를 부정하여 공동체 내에 신분 계급을 창출하고 영속시키는 것은 헌법 정신에 반하며, 자신의 체류지위에 대한 책임이 없는 아동에 대한 가혹한 처사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한국의 헌법상 미등록 이주아동의 평등한 교육권을 보장하며, 이에 부합하여 양질의 포용적 교육을 실천하도록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The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mostly ignored and excluded from laws and policies. In the ruling of Plyler v. Doe (1982), in comparison,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the right of undocumented children to be educated on an equal basis with other children under the Fourteenth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In this judgment, the Supreme Court found that undocumented migrants are granted equal protection of the law as any other persons within the U.S. jurisdiction, and that creating a lower class based on immigration status fundamentally undermines the purpose of the Equal Protection Clause. The Supreme Court then adopted intermediate scrutiny as the standard of review for this case, reasoning education is a system that has a permanent impact on children's lives and is the basis of a democratic society. Concerns about the influx of undocumented immigrants and economic burdens were raised, but they were not enough reasons to justify the discrimination against undocumented children in their right to education.
    The discussion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in the Plyler ruling gives useful implication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As similarly recognized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education is a right and an institution that allows individuals to pursue happiness with dignity and value as human beings and to possess virtues and qualities required for political participation in a democratic society. It is a basic condition that enables not only self-actualization but also social order. As in Plyler’s judgment, denying equal right of education to undocumented children, thereby creating and perpetuating status-based classes within the society, goes against the spirit of the Korean Constitution and is a harsh treatment for children who are not responsible for his or her immigration status. This article thus argues that equal access to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recognized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regardless of nationality and immigration status and that laws and policies be accordingly reformed to realize inclusive qualit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